지난 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올림픽 일본 대표 선수단 결단식의 모습. 이날 결단식에는 일부 선수만 행사장에 참석했고 선수 대부분은 온라인으로 참여했다. AFP 연합뉴스
오는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 모든 경기를 무관중으로 치르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일본 <마이니치신문>이 7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일부라도 관객을 받는 방안을 추진해왔으나, 여론 악화 때문에 고심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은 이날 “코로나19 감염확산을 염려하는 여론 때문에 방침 전환이 필요하다는 시각이 정부와 여당 내에 강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도쿄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가 참여하는 5자 협의를 이르면 8일에 열어 최종 판단을 할 방침이라고도 전했다. 그러나 관중을 받지 않더라도 국제올림픽위 관계자 등 일부 대회 관계자 참석은 허용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신문은 도쿄올림픽 유관객 개최를 주장했던 각료 중 1명이 “더이상 유관객은 어렵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지난 4일 열렸던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자민당이 사실상 패배한 것을 두고 당 간부가 “여론은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에 불만이 있다. 과학적으로는 일부 무관객으로 괜찮지만 (관객 수용안으로는) 더이상 정치적으로 버틸 수 없다”고 말했다고도 전했다.
‘총선 전초전’이라고 불렸던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자민당과 연립여당인 공명당은 합계 56석으로 목표로 내걸었던 과반 의석(64석) 확보에 실패했다. 공명당의 야마구치 나쓰오 대표는 6일 “감염 방지 관점에서 무관객을 시야에 넣고 결정해 줬으면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관객을 받아 개최해 감염확산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도쿄도와 국제올림픽위 등은 도쿄올림픽 경기 관중을 경기장 정원의 50%, 최대 1만명 받기로 지난달 21일 결정했다. 국외 관중은 받지 않기로 했다. 아울러 도쿄올림픽 때 도쿄 등에 긴급사태에 준하는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가 적용되거나 긴급사태가 선언된다면 ‘무관중’을 염두에 두고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달 21일 800명대까지 떨어졌던 코로나19 하루 확진자가 이후 하루 1000명 이상을 계속 기록하며, 도쿄올림픽 기간에도 만연방지 등 중점조치가 계속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유관중 개최 계획은 최소한 대폭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다만 규모를 대폭 축소하더라도 관중을 조금이나마 받는 계획도 여전히 논의 중인 것으로 보인다. <산케이신문>은 야구 등 일부 경기에 대해 완전 무관중 대신 5천명까지 관중을 받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7일 전했다.
한편, ‘올림픽의 꽃’이라고도 불리는 마라톤 경기에서도 도로에 나와 응원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보기 어려울 전망이다. 도쿄올림픽조직위 등은 오는 8월8일 홋카이도 삿포로시에서 열릴 예정인 마라톤 경기 때 코로나19 감염확산 방지를 위해, 시민들이 도로에 나와 경기를 구경하거나 선수를 응원하지 말 것을 요청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도쿄올림픽 마라톤 경기는 도쿄 여름철 폭염 우려 때문에, 지난 2019년 도쿄에서 800㎞ 북쪽에 있는 삿포로에서 여는 것으로 변경됐다.
조기원 기자
gard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