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를 탈출한 어린이들이 3일 폴란드 국경지대의 프셰미실에 마련된 대피소에 모여 있다. 프셰미실/AP 연합뉴스
러시아가 침공 8일째인 3일(현지시각) 남부 항구도시 헤르손을 장악했다. 수도 키이우(키예프)와 제2 도시 하르키우(하리코프)에서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을 저지하고 있지만,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전황이 이어지고 있다. 속전속결로 전쟁을 조기 종결하는 데 실패한 러시아가 ‘포위전 뒤 총공세’로 전술을 바꾸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전화 통화에서 러시아는 무슨 수를 쓰든 우크라이나 비무장화와 중립화 목표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또 우크라이나가 협상을 지연시키려 할 경우, 우크라이나에 대한 요구사항을 더 늘릴 것이라고 덧붙였다고 <아에프페>(AFP) 통신 등이 전했다. 두 나라는 이날 오후 벨라루스 서남부 브레스트에서 2차 협상을 시작했다.
인구 30만의 요충지인 헤르손의 이호르 콜리하예우 시장은 이날 <뉴욕 타임스>에 무장한 군인 약 10명이 시청 건물에 들어왔다고 밝혔다. 그는 더 이상 우크라이나군이 도시 내에 없으며, 거주민들은 “시 정부로 들어온 무장한 이들(러시아 병력)”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시엔엔>(CNN)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주요 도시를 처음 점령했다며, 이를 ‘중요한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2대 도시인 동부의 하르키우에선 격렬한 전투가 이어지고 있다. 러시아군은 도심의 시 의회, 전화국, 텔레비전 탑 등을 겨냥해 포격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주민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올렉시 아레스토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 보좌관은 2차 세계대전 때 독일과 소련 사이에 처참한 격전이 이어졌던 전투를 빗대 “하르키우가 21세기의 스탈린그라드”가 되고 있다고 평했다.
수도 키이우에선 외곽에 구축된 길이 64㎞에 달하는 러시아군 전력이 여전히 도심으로 진입하지 않고 대기 중이다. 존 커비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2일 러시아군이 “지난 24~36시간 동안 주목할 만한 진전을 보이지 않았다”며 그 이유로 △우크라이나군의 저항 △예상치 못한 군수지원 차질 △전열 재정비·재평가를 꼽았다. 미군은 수도를 기습 타격해 전쟁을 손쉽게 끝내려던 러시아군이 이제 주요 도시들을 포위하고 물자 공급과 탈출로를 차단해 항전 의지를 분쇄한 뒤 기갑부대를 동원해 일거에 공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 국방부는 2일 개전 후 처음으로 러시아 병사 498명, 우크라이나 병사 2870명이 사망했다며 피해 규모를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방부는 앞서 러시아 병사를 최소 5840명 사살했다고 주장했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이어갔다. 유엔은 2일 긴급특별총회를 열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즉각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을 찬성 141표, 반대 5표, 기권 35표라는 압도적 지지로 채택했다. 백악관은 러시아의 주요 산업인 정유산업을 타격하기 위해 석유·천연가스 추출 장비 기술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는 추가 조처를 내놨다. 이 조처가 이어지면, 에너지산업에서 러시아의 지위는 장기적으로 하락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산 원유·천연가스에 대한 금수 조처를 할 것이냐는 질문에 “어떤 것도 테이블 밖에 있지 않다”고 가능성을 열어놨다.
전쟁의 포화를 피하려는 우크라이나인들의 탈출 행렬은 이어졌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기구(UNHCR) 대표는 개전 후 2일까지 100만명의 난민이 폴란드 등 이웃 나라로 탈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우크라이나 인구(약 4400만명)의 2%가 넘는 규모다.
황준범 기자,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jay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