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유럽

‘가짜 투표’ 명분 삼아…러시아, 우크라 점령지 합병 속도전

등록 2022-09-28 17:19수정 2022-09-29 09:02

27일(현지시각)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에 친러 분리주의자들이 세운 ‘루간스크공화국’(LPR)의 수장인 레오니트 파세치니크가 이 지역의 러시아 연방 편입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타스 연합뉴스
27일(현지시각)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에 친러 분리주의자들이 세운 ‘루간스크공화국’(LPR)의 수장인 레오니트 파세치니크가 이 지역의 러시아 연방 편입 찬반을 묻는 주민투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타스 연합뉴스

러시아가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4개 주에서 실시된 합병 주민투표에서 87~99.2%라는 압도적인 찬성률이 나왔다. 러시아는 공정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국제적인 지탄을 받고 있는 이 투표 결과를 명분 삼아 신속하게 합병 절차를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은 28일(현지시각) 러시아 연방에 편입하겠다는 의견이 친러 분리주의자들이 공화국을 세운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에서 각각 99.23%(211만5800표)와 98.42%(163만6302표)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지난 2월 침공으로 새로 점령한 남부 자포리자주와 헤르손주의 찬성률은 각각 93.11%(43만268표)와 87.05%(49만7051표)였다. 투표를 치른 지역은 우크라이나 전체 영토의 15%(약 9만㎢)로 포르투갈 전체와 맞먹고, 남한보다는 약간 작다.

통신은 유럽연합(EU) 국가를 포함한 40개 국가에서 온 100명 이상 국제 참관인이 투표 과정을 모니터링했다며 이번 결과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하지만 23~27일 진행된 투표 과정을 지켜본 <비비시>(BBC) 등 외신들은 이번 보통·평등·직접·비밀 등 민주주의 국가의 선거 원칙에 따른 투표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선거관리 담당자가 무장 군인을 대동해 집집을 방문해 찬반을 묻는 등 선거의 공정성·투명성이 훼손됐다는 것이다. 제임스 카리우키 주유엔 영국대사는 “수많은 총이 겨누는 그런 상황에서 실시된 어떤 주민투표도 자유, 공정과 가까워질 수 없다”고 말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비판에도 레오니트 파세치니크 루간스크공화국 수반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루한스크의 러시아 편입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8일 러시아 하원(두마), 29일 상원에서 합병안이 각각 통과되면, 30일 푸틴 대통령이 이를 공식 선포할 전망이다. <에이피>(AP) 통신은 “운명이 정해져 있던 (투표) 결과가 지난 7개월 동안 계속된 전쟁에 위험하고 새로운 국면을 열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 투표에 대해선 당사자인 우크라이나·러시아와 대립하고 있는 주요 7개국(G7)뿐 아니라 러시아에 우호적인 국가들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특히 옛 소련 구성 공화국 중 하나인 카자흐스탄, 러시아와 서구 사이에서 중재를 시도해온 튀르키예는 러시아의 영토 확장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드러낸 바 있다.

투표 결과가 전해진 뒤에도 우크라이나는 ‘목표가 달라지지 않았다’며 반격을 이어나갈 것을 예고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름을 밝히지 않은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추가로 11억달러(약 1조5700억원) 규모의 군사지원을 한다고 전했다. 미국은 2월 러시아의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에 약 150억달러(약 21조4000억원) 규모의 군사지원을 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1.

일본, 1시간 일해 빅맥 두 개 산다…한국은?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2.

미국서 또 항공기 추락…어린이 환자 태운 채 주택가로 떨어져

멕시코·캐나다 공장 어쩌나…트럼프 관세 폭탄에 글로벌 기업 당혹 3.

멕시코·캐나다 공장 어쩌나…트럼프 관세 폭탄에 글로벌 기업 당혹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4.

‘여객기 충돌’ 미군 헬기, 고위직 대피 비밀훈련 중이었다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5.

50년 전에 인간이 갔던 달, 왜 다시 못 가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