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중국 웨이보에는 지난 11일 쓰촨성 랑중시에서 발생한 사드 반대 시위대의 모습이 올라왔다. 시위대는 행진하며 “'한국 제품 불매'' 구호를 외쳤고 당국은 경찰을 대거 투입해 현장을 통제했다. 연합뉴스
중국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방중을 앞두고 북핵 6자회담 재개 등 ‘대화 노선’을 강조하고 나섰다. 제재 압박을 높이려는 미국과는 선명한 대립각이 세워지는 모양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은 6자회담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유효한 플랫폼이라고 시종 생각한다”며 “여러 원인으로 현재 6자회담은 사실상 정체 상태지만, 우리는 각국과 6자회담 등 양자·다자 대화를 재개하기 위한 조건을 깊이 연구하기 바란다. 다른 각국이 적극적으로 중국의 대화 재개 추진 노력에 호응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중국의 이런 입장은 같은 날 틸러슨 장관이 서울에서 “지금은 북한과 대화를 할 시점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화 대변인은 “여러 해 동안 관련 각국은 많은 노력을 했고 2005년 9·19 공동성명 등 일련의 성과를 포함해 적극적 진전도 보았다”며 “조선(북) 핵 문제가 오늘까지 온 것은 좋은 협의나 대화가 없어서가 아니라, 이미 이뤄놓은 성과들이 실질적이고 유효하게 집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틸러슨 장관이 이날 “우리가 최고 수준의 제재 조처를 취했다고 믿지 않는다”라며 추가 제재 필요성을 시사한 데 대해서도 중국은 반박했다. 틸러슨 장관이 18일 중국을 방문해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에 대한 ‘세컨더리 보이콧’ 등을 거론할 가능성을 묻자, 화 대변인은 “우리는 국내법에 근거해 제3국에 일방적 제재 조처를 취하는 데 반대하며, 중국의 이익에 손해를 줄 수 있는 어떤 부당한 제재에도 결연히 반대한다”고 했다.
전날 공해상에 머물던 북한 선박 10척이 중국 항구에 일제히 입항하면서 중국이 중단을 선언했던 석탄 수입 재개 가능성이 의심된다고 전한 이날 <미국의 소리>(VOA) 보도에 대해 화 대변인은 “구체적인 상황은 모른다. 그러나 중국이 안보리 결의를 엄격히 집행한다는 건 의심할 게 없다”며 사실상 부인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도 16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제재 강화 쪽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에 대해 “우리는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해 기존 합의들의 맥락에서 국제법에 근거한 국제적 노력을 활성화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유엔 안보리 대북 결의는 이행하되, 9·19 공동성명의 맥락에서 외교적 해결 노력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베이징/김외현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