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부모님과 함께 소녀상을 찾은 한 어린이가 동상을 포옹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행정부는 부산 평화비(소녀상) 설치에 대한 일본의 ‘보복 조처’ 등과 관련해 직접적인 언급은 피하면서도, ‘12.28 위안부 합의’의 의미를 애써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존 커비 국무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각) 정례브리핑에서 부산 소녀상에 대한 질문을 받고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한국과 일본은 2015년 12월 민감한 역사 유산에 대한 합의를 선언해 용기와 비전을 보여줬다”며 “화해를 향한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커비 대변인은 이어 “양국 합의는 지난해 양국과의 관계 및 다면적 협조를 강화하는 데 기여해왔다고 믿고 있다”며 ”나아가, 깊어진 유대 관계는 양국 정부들이 미래에도 치유와 화해를 증진하는 방식으로 역사적 문제에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존 미국 입장에서 벗어난 건 아니지만, 일본이 부산 소녀상 설치를 ‘합의 위반’으로 보는 상황에서 일본 쪽에 힘을 실어주는 듯한 모양새가 될 수도 있다. 미국은 중국의 부상과 북한 위협 대처를 명분으로 한-일간 군사협력를 촉진하기 위해 한-일 양쪽에 ‘위안부 합의’를 압박해왔다.
<뉴욕 타임스>도 6일 ‘끝나지 않은 위안부 문제’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한·일과 미국 쪽에 필요한 건, 합의가 무너지도록 내버려둘 수 없음을 인식하고, 현 상황을 진정시키기 위한 일치된 노력을 병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워싱턴/이용인 특파원
yy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