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르 에베르리니 아바나대 경제학과 교수는 마리엘 경제특구와 관련해 “쿠바 정부는 마리엘 특구가 잘되면 다른 지역에도 특구를 설치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에베르리니 교수와의 인터뷰는 지난 18일 아바나 코트라 사무실에서 진행됐다.
-마리엘 특구는 언제부터 시작됐나.
“(2011년 4월에 열린) 쿠바 공산당 6차 전당대회에서 나왔던 가이드라인이 모두 개발과 관련된 것이다. 길게 보면 그때부터 마리엘 특구를 시작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마리엘 개발법이 나와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것은 2013년 12월부터다.”
-쿠바가 마리엘 특구를 통해 얻고자하는 경제적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마리엘 지역이 잘되면 다른 곳에도 특구를 설치할 계획이 있다. 쿠바 전역으로 봤을 때 지역별로 광물, 농업 등으로 특화할 예정이다. 마리엘 특구는 첨단기술 지역으로 특화해 균형발전을 꿈꾸고 있다. 일종의 중국식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마리엘 특구에 들어오려는 기업들이 있나?
“외국기업이 제출한 7개 프로젝트에 대해 승인이 난 것으로 알고 있다. 11개 구역으로 나눠져 있는데, 구역별로 고급 첨단기술이나 제약, 통신 등의 지역이 있다. 외국 기업들이 들어오면 세금 면제나 우대, 8년 동안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무료 이용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
-지난해 12월 미국과의 수교 교섭 발표 이후 분위기가 좋아지고 있나.
“마리엘 지역에 관심을 가지는 해외 기업들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다.”
-미국 기업들도 문의를 하고 있나.
“사실 미국 기업들은 특구에 들어오는 것보다는 호텔이나 여행 쪽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물론 미국 기업이 들어오는 것을 쿠바는 전략적으로 찬성한다. 하지만 너무 강한 미국 기업이 들어오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 자칫하면 혁명 전 상황과 같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러시아와 아시아 기업들도 공존하기를, 다양한 국가에서 다양한 기업이 들어오기를 원한다.”
-자영업들이 성장하는 상황에서 배급제가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는지.
“생산량이 늘어 시장에서 값싸게 살 수 있으면 배급제가 필요없어지지 않겠나. 지금처럼 전국민 모두에게 나눠주는 것은 의미가 없고, 개인 식당하는 사람한테도 줄 필요가 없다고 본다. 독거노인이나 저소득층을 보호하는 시스템으로 가야 하지 않느냐는 생각이 든다.”
아바나/글·사진 이용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