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지지자들이 21일 연방수사국(FBI) 보스턴지부 앞에서 항의 시위를 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사저인 마러라고 리조트로 반출한 비밀 문서가 300건이 넘는다는 보도가 나왔다.
<뉴욕 타임스>는 올해 1월과 6월 트럼프 전 대통령이 국립문서보관소에 반납한 것을 포함해 그가 무단 반출한 비밀 문서가 300건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이 사안을 아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22일 보도했다. 1월에 150건이 반납됐고, 6월에도 다량의 비밀 문서가 반환됐다. 여기에 이달 8일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연방수사국(FBI)이 압수한 11세트의 비밀 자료까지 합하면 이런 규모라는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 쪽에서 반환되거나 압수된 비밀에 대해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 신문은 1월에 반환된 15상자 분량의 문서에는 정보·공작 기관인 중앙정보국(CIA), 감청을 전문으로 하는 국가안보국(NSA), 연방수사국이 생산한 국가 안보 관련 자료들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이런 자료를 확인한 국립문서보관소가 법무부에 통지해 수사가 개시됐다는 것이다. 연방수사국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반출한 비밀 자료가 모두 반납되지 않았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계속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법적 대응도 시작됐다. 그는 법원이 ‘특별 감독관’을 선임하기 전까지 검사들의 압수 자료 검토를 금지해 달라고 22일 법원에 신청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변호인들은 “검사들이 유의미한 안전 장치 없이 자료를 검토하는 것은 부당하다”며 “특별 감독관에 의한 중립적 검토만이 대통령의 공적 의무 수행 과정에서 이뤄진 대화를 비밀로 보존하는 ‘중대한 공적 이익’을 지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법무부가 압수 자료에 관해 더 자세한 목록을 공개하고, 압수수색영장이 허용하는 범위 밖의 물품은 반환하게 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변호인들은 신청서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을 “2024년 대선의 확실한 선두 주자”라고 부르면서 “이번 압수수색은 포괄적일 뿐 아니라, 정치적으로 도움이 되는 문서를 뒤지거나 트럼프 대통령의 재출마를 좌절시키기 위해 1월6일 사건 조사 같은 것을 도우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방수사국이 대선 결과 인증을 중단시키려는 지난해 1월6일 의사당 난동 사태와 트럼프 전 대통령을 결부시킬 자료를 찾으려고 압수수색에 나섰다는 것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불합리한 압수와 수색”에 의한 개인 권리 침해를 금지하는 수정헌법 제4조를 근거로 법적 대응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