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설이 고조되고 있다. 몇달째 이어진 새마을금고 ‘만기 연장 반대’ 사태가 좀처럼 진화되지 않고 있는 탓이다. 그 배경에는 부동산 경기 위축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진 만큼 부실 사업을 빨리 정리해야 한다는 금융회사들의 위기의식이 자리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만기 연장 방침도 점차 설득력을 잃는 분위기다.
13일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설명을 들으면, 최근 새마을금고중앙회가 포함된 서울 청담동 ‘르피에드’ 개발 사업 브릿지론 대주단은 만기 연장 여부를 두고 협상하고 있다. 프리마호텔 부지에 고급 주거시설 ‘르피에드’를 짓는 이 사업은 지난 8월 브릿지론 만기가 돌아온 바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총 브릿지론 4640억원 중 1800억원(39%)을 빌려준 선순위 채권자로, 만기 연장에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시행사와 후순위 채권자의 반발을 고려해 채권 행사를 미루고 협상을 진행해왔다. 시행사와의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 사업장은 경매에 넘어가게 된다.
새마을금고의 움직임은 이미 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만기 연장이라는 정부 방침에 본격 차질이 생기기 시작한 것으로 읽힐 수 있는 탓이다. 금융위원회는 금리가 오르면서 부동산 경기가 급격하게 위축되자 올해 초부터 피에프 대주단 협약을 가동해 만기 연장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왔다. 한국은행이 내년께 기준금리 인하에 돌입하면 부동산 경기도 회복될테니 그때까지만 시간을 벌면 된다는 계산이 작용했다.
문제는 이런 계산의 현실성이 점점 더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거론되는 것처럼 고금리 국면이 기존 예상보다 더 오래 갈 경우, 시간을 벌겠다고 만기를 연장했다가 자칫 연체이자만 쌓이고 땅값은 더 떨어져 손실이 불어날 가능성이 있다. 만기 연장이 손실을 단지 이연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만기 연장에 신중해진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최근 기류도 일부 이런 위기의식에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의 만기 연장 방침이 점점 설득력을 잃어 다른 사업장에서도 르피에드와 비슷한 사례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증권·캐피탈 업계나 다른 부동산 피에프 사업장에 불똥이 튈지 모른다는 긴장감도 고조되고 있다. 이들 업계는 새마을금고와 공동으로 참여한 부동산 피에프가 적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통상 새마을금고가 선순위 채권자인 만큼, 경매로 넘어갈 경우 손실은 대부분 중·후순위 채권자인 증권·캐피탈사나 보증을 선 건설사에서 떠안을 가능성이 높다. 르피에드 사업 시행사인 미래인을 통해서 손실이 전이될 여지도 있다. 미래인은 경기도 양주와 부천 등에서도 부동산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긴장 태세에 들어간 금융당국은 연일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일단 새마을금고중앙회와 협의해 만기 연장 결정을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새마을금고는 시행사가 연체된 이자를 모두 갚고 앞으로 이자를 지급할 자금여력이 있다는 점도 입증해야만 만기를 연장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는 이달 안에 르피에드 사업장의 만기 연장 여부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본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최근 시행사에서 협상안을 제시해서 검토해보고 있다”며 “아직 정식 투자심사로 넘어간 단계가 아니어서 결론이 나기까지 최소 2주 정도는 더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ja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