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와 관련해 주가조작을 주도한 의혹을 받는 라덕연 대표가 5월11일 오전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거래소가 주가조작에 악용된 차액결제거래(CFD) 계좌를 전수조사한 결과, 불공정거래가 의심되는 종목 수십 개가 확인됐다.
거래소는 5월23일부터 두 달 간 차액결제거래 계좌 2만2522개(계약자수 5843명)를 전수 조사한 결과 불공정거래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종목과 관련 계좌를 포착해 금융당국에 통보했다고 25일 밝혔다. 분석 대상 기간은 2020년 1월부터 소시에테제네랄(SG)발 무더기 하한가가 발생한 올해 4월28일까지 3년 4개월이다. 거래소는 전수 조사를 위해 20여명으로 구성된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운영해 왔다. 거래소는 이번 조사에서 수십 개의 의심 종목을 추려낸 것으로 알려졌다.
차액결제거래 계좌를 악용한 불공정거래 혐의 가운데서는 미공개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과반을 차지했다. 거래소는 “실제 투자자 파악이 어렵다는 차액결제거래 계좌의 익명성을 이용한 미공개정보 이용행위가 많았으며, 레버리지를 활용하는 차액결제거래 특성상 투자원금 대비 부당이득의 추정 규모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차액결제거래 계좌와 일반계좌를 함께 활용해 시세 조종에 나선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도 적발됐다. 투자 주체가 ‘외국계’로 잡히는 차액결제거래 계좌를 통해 대규모 매수에 나선 뒤 일반 위탁계좌로 시세를 견인하고, 주가가 오르면 차액결제거래 계좌에 들고 있던 물량을 매도하는 방식이다. 외국계로 잡히는 차액결제거래 계좌의 특성상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가 특정 종목을 매수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일반 개인투자자의 추종매매로 이어진 경우도 있었다고 거래소는 전했다.
거래소가 금융당국에 제공한 정보는 금융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금융감독원이 추가 조사하거나, 사안이 심각하다고 판단할 경우 패스트트랙 제도를 활용해 검찰에 통보할 수도 있다.
차액결제거래 계약과 주문 흐름도. 한국거래소 제공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