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폭락 사태로 하한가를 찍었던 8개 종목의 차액결제거래(CFD) 미수채권 규모가 25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증권사가 투자자들에게 돌려받지 못한 돈으로 증권사 건전성과 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8일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차액결제거래를 취급한 증권사들의 8개 종목 미수채권 규모는 지난달 4일 기준 2521억9천만원으로 추정됐다. 8개 종목은 삼천리, 서울가스, 선광, 대성홀딩스, 세방, 다우데이타, 다올투자증권, 하림지주다.
구체적인 증권사명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13개 증권사 가운데 한 곳을 제외한 12곳에서 모두 미수채권이 발생했다. 미수채권이 가장 많은 증권사의 미수채권 규모는 685억6천만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차액결제거래는 적은 투자금으로 최대 2.5배까지 레버리지를 일으킬 수 있다. 주가가 하락해 손실이 날 경우 투자자는 증거금을 추가로 내야 하는데 이를 납부하지 못하면 증권사는 반대매매에 나선다. 이번에 소시에테제네랄(SG) 창구를 통해 8개 종목의 물량이 쏟아지고 이들의 주가가 연일 하락하면서 이러한 절차가 진행됐다.
문제는 증권사가 투자자들로부터 돌려받지 못한 돈이다. 투자자들이 빌린 돈을 갚지 못한 경우 우선 증권사가 먼저 갚아주는 대신 미수채권이 발생하고, 증권사들은 여기에 대비해 충당금을 쌓아야 해 건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미수채권은 추심 절차를 밟기는 하지만 온전히 돌려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용우 의원은 “미수채권 관련 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증권사들은 리스크(위험) 관리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영 기자
hyc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