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심층분석] 내년 미국 금리 3번 인상론의 허실

등록 2016-12-19 13:06수정 2017-02-06 11:53

미 연준의 점도표, 연준의 계획이 아냐
부실한 근거가 정책 실기 불러
이번에는 다를까?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로도 유명한 케네스 로고프 미 하버드대 교수는 지난 2010년에 동료 카르멘 라인하트 교수와 함께 <이번엔 다르다>란 책을 펴냈다. 800년 역사 분석을 통해 부채와 성장 간의 상관도를 따져본 연구였다. 분석 결과는 이렇다. 공공부채비율이 90% 미만일 때는 공공부채와 경제성장 간에 별다른 관계가 없었으나, 공공부채비율이 90%를 넘어설 때는 성장률이 크게 낮아졌다는 것이다. 공공부채비율은 공공부채를 국내총생산(GDP)로 나눈 값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재정지출을 크게 늘리던 미국 등 주요국 정부가 뜨끔해할 만한 주장이었다. 재정확대로 공공부채비율이 하늘 높게 치솟고 있었던 탓이다. 로고프 교수의 책이 던진 메시지는 “재정 확대는 위험하다”였다. 책 제목을 역설적으로 달아놓은 셈이다.

대학자의 실수와 파장

3년 뒤인 2013년에 로고프·라인하트 교수는 큰 시련을 맞는다. 미 메사추세츠대학(UMASS)의 학자들이 이들의 연구에 심각한 결함을 찾아냈기 때문이다. 800년의 연구 분석 과정에서 일부 데이터를 잘못 다뤄 엉터리 결론이 도출됐다고 소장 학자들은 주장했다. 미 <뉴욕타임스> 온라인에서 공방이 중계되기도 했던 ‘로고프 사태’는 결국 로고프 교수가 잘못을 인정하는 것으로 봉합됐다. 폴 크루그먼 뉴욕 시립대교수는 “로고프는 지금 행복하지 않다”“엑셀이 만들어낸 침체”란 조롱섞인 칼럼을 자신의 블로그와 <뉴욕타임스>에 실었다.

대학자도 실수는 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파장은 컸다. 2010년 로고프 연구에 영향을 받아 주요국은 앞다퉈 ‘긴축 재정’으로 돌아섰다. 로고프 제언대로 부채를 줄여 제2의 침체를 피하기 위해서였다. 실제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기초재정수지는 2008~2010년까지 크게 적자 행보를 보이다 그 이후 점차 적자폭이 줄어든다. 이런 재정 기조는 어떤 결과로 나타났을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지난 11월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서 “2010년 이후 상당수 국가가 균형재정을 추구하면서 결과적으로 공공부채비율이 더 상승하고 말았다. 경기 침체기에는 재정을 확대하는 것이 오히려 부채비율을 낮춘다”고 밝혔다. 재정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행한 긴축 재정이 외려 성장률을 떨어뜨려 공공부채비율을 더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이다. 폴 크루그먼 교수는 “2010년 선진국에서 갑자기 긴축 정책으로 급선회를 한 것은 금세기의 큰 잘못”이라고 말했다.

내년 금리 세번 인상?

3년 전 이야기를 되짚은 건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년 만에 다시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 한 뒤 나온 여러 분석들과 전망을 보면서다. 상당수 분석가들은 내년에 미국이 금리를 세차례 더 올릴 것이라고 했다. 이런 전망 속에 자연스레 한-미 금리 간 역전 가능성이나 이에 따른 자본 유출을 우려하는 분석이 뒤따르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위험하다라는 목소리로 이어졌다. 일부 언론은 1994년 당시 미 연준이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린 사례까지 언급했다. 공포심을 한껏 부추긴 것이다.

* 2016년 12월 발표된 점도표 자료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 2016년 12월 발표된 점도표 자료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런 전망과 분석의 바탕이 된 근거는 미 연준이 발표한 ‘점도표’에 바탕을 둔다. 점도표는 연준 위원이 각자가 예상하는 특정 시간(1년·2년·3년·장기) 이후의 금리 수준을 적은 것을 보여주는 표다. 미 연준은 시장이 연준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하고 준비할 수 있기 위해 여러 장치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점도표다. 여하튼 이번 점도표에선 연준 위원 다수는 2017년 말 적정 금리 수준은 현재(0.50~0.75%)보다 0.75%포인트 높은 1.25~1.50%이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17명의 위원 중 가장 많은 6명이 이 금리대를 찍었다. 연준의 금리 세번 인상론은 바로 이 점도표에 따라 0.25%포인트씩 세번, 내년에 올릴 것이라는 ‘단순 계산’에 바탕을 둔 셈이다.

이는 매우 순정한 접근이다. 과거 점도표와 실제 연준의 정책금리 결정 간의 상관도를 따져볼 때 그렇다. 가령 연준이 7년간의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정책금리를 올렸던 지난 2015년 12월 점도표를 보자. 여기에 따르면, 현재 정책 금리는 1.25~1.50%이어야 한다(17명 위원 중 7명이 제시한 금리 수준). 한 해 동안 연준이 네번(0.25%포인트씩 올린다고 가정)씩 올려야하지만, 모두가 알고 있듯이 연준은 올해 단 한 차례만 금리를 인상했다. 당시 점도표는 2017년 금리 수준을 무려 현재(0.50~0.75%)보다 1.25%포인트 높은 1.75~2.0%로 예상하고 있다. 한마디로 ‘과거의 점도표’는 연준의 실제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에는 별다른 효용이 없었던 셈이다.

* 2015년 12월 발표된 점도표 자료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 2015년 12월 발표된 점도표 자료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경계심은 갖자

그렇다면 점도표는 아무런 효용이 없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외려 점도표와 실제 연준의 금리 결정 간 드러난 꾸준한 차이에서 “경제가 연준 위원의 애초 예상보다는 성장 속도가 느렸다”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연준 위원이 미국 경제를 지금껏 장밋빛으로 내다봤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기대 수준을 낮춰왔다는 뜻이다. 점도표 변화에서 연준의 시각 변화를 읽을 수 있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이번 점도표는 과거와 다른 뚜렷한 특징이 하나 있다. 지난 9월 점도표에선 연준 위원 중 7명이 내년 적정금리 수준으로 1.0~1.25%로 적었다. 12월 발표된 점도표에서 나온 중간값(1.25~1.50%)보다 낮다. 요컨대 지난 9월보다는 12월에 연준 위원의 경제 전망이 좀더 긍정적으로 변화한 셈이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 나타난 현상이다. 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9월보다 12월에 더 커진 셈이다.

오류로 드러난 로고프·라인하트 교수의 주장은 주요국이 재정 긴축에 나서게 된 빌미가 됐다. 마찬가지로 아주 부분적인 정보만 제공하는 점도표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면 국내 거시경제정책은 물론 개별 경제주체들도 잘못된 선택을 하기 십상이다. 이번에는 다를까?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1.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2.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3.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4.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5.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