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행복지수 측정 체제는
2014년부터 누리집서 서비스
서울시도 ‘서울형 행복지표’ 구축
2014년부터 누리집서 서비스
서울시도 ‘서울형 행복지표’ 구축
저성장 체제에 들어서며 양적 성장의 한계와 문제에 직면한 우리나라 역시 국민들의 삶의 질과 행복 증진에 점차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행복지수 측정 체계로는 통계청의 ‘국민 삶의 질 지표’와 지역발전위원회의 ‘지역주민 행복도 조사’가 있다.
통계청이 2014년부터 자체 누리집에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는 ‘국민 삶의 질 지표’는 총 12개 영역, 81개 지표로 구성돼 있다. 물질 부문 4개 영역과 비물질 부문 8개 영역으로 나뉘고, 81개 지표는 객관지표 57종과 주관지표 24종으로 구분된다. 지역행복생활권 정책의 일환으로 이뤄지고 있는 지역발전위원회의 ‘지역주민 행복도 조사’는 2013년 12월 기준 정부의 관련 통계자료와 2014년 7월 기준 ‘주민 체감 행복도’(삶의 질 만족도)를 측정한 것이다. 지역 간 행복도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총 229개 기초자치단체별로 12개 영역에 걸쳐 객관적 통계단위와 주관적 지표로 설문 측정 표본이 구축돼 있다. 객관적 지표는 30개의 승인통계 지표로, 주관적 지표는 16개의 만족도 지표로 구성된다.
서울시는 2015년 서울의 경제사회적 환경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서울형 행복지표’를 구축했다. 경제, 주거, 일자리, 인적자원, 환경, 커뮤니티, 시민참여, 건강, 안전, 문화여가, 생활만족도 등 11개 영역에 걸쳐 24개 지표로 구성돼 있다. 일반적인 설문 방법은 ‘당신은 지금 얼마나 행복하십니까?’ ‘당신은 어제 행복하셨나요?’ ‘요즘 들어 당신의 삶은 전반적으로 행복하십니까?’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오이시디)·세계은행·부탄의 행복지수는 건강, 경제 상태, 사회적 관계 등 여러 사회경제적 요인들의 합을 통해 그 지역의 행복지수를 산출한다. 서울형 행복지표는 이런 오이시디의 ‘삶의 질 지표’ 틀을 유지하면서 서울시민의 특성을 반영한 지표체계다. 따라서 다른 국가·도시와의 행복지수 비교도 가능하다.
서울시는 매년 4만5천명의 서울시민을 조사하는 서울서베이 조사 자료를 활용해 서울형 행복지표의 변화 추이를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변미리 서울연구원 미래연구센터장은 “서울형 행복지표는 행복 측정의 보편성과 서울시민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있다”며 “영국에서 시도했던 시민참여형 행복지표위원회를 벤치마킹해 개인욕구 차원만이 아닌 사회공동체 관점의 행복을 증진하기 위한 요인들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구원은 2015년 3월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해 서울시민 체감 행복지수를 측정한 바 있다. 변미리 센터장은 “지역주민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를 모니터링하고 삶의 질과 행복을 제고하기 위해 어떤 요인들을 개선할 것인지, 그 정책판단을 위한 근거로 행복지표가 구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계완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동향분석센터장
연재싱크탱크 광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