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저성장에서 벗어나지 못하면서 가계소득이 늘어나야 경제성장도 제대로 될 수 있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사진은 알바노조 회원들이 지난달 2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최저임금 인상을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는 모습.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이제는 소득 주도 성장이다
① 위기의 한국 경제
① 위기의 한국 경제
“고용 0.22~0.58% 늘어나고
민간소비도 0.52~0.71% 증가해”
‘투자와 수출 감소’ 통념과 정반대
“기업 수익성 향상보다
소득분배 증가가 투자 더 유발” 이는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노동소득분배율이 상승하면 기업의 비용 증가로 기업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수출 경쟁력의 약화로 수출이 감소된다는 통념과 배치된다. 그동안 ‘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통한 투자 확대’라는 명분 아래 노동자의 임금은 억제돼야 한다는 논리가 득세해왔다. 홍 교수는 “실질임금 상승 또는 노동소득분배율 개선이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기업의 투자를 촉진시키고 고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자본소득보다 노동소득의 소비성향(소득에 견준 소비의 비중)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실질임금이 상승하면 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한다”며 “1999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 경제는 ‘실질임금 상승이 고용을 감소시킨다’는 신고전파 경제학의 명제보다는 ‘실질임금 상승이 고용을 증가시킨다’는 케인스 명제가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국제노동기구도 기업 부문과 가계 부문 간의 이익 분배에 따른 계량 분석을 시도했다. 2012년에 발간된 ‘총수요는 임금 주도 성장과 이윤 주도 성장 중 무엇을 요구하는가’란 제목의 보고서가 그 결과를 담고 있다. 이 보고서를 보면, 자본(기업 부문) 몫이 1%포인트 늘어날 경우 미국(0.388)과 터키(0.208), 이탈리아(0.100), 독일(0.029), 영국(0.025), 프랑스(0.021), 일본(0.014) 등은 모두 총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더 많은 이윤을 가져갈 경우 나라 전체의 총수요가 줄어들어 성장률이 떨어진다는 의미다. 우리나라 역시 자본이 가져가는 몫이 1%포인트 더 늘어나면 총수요는 0.063%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홍장표 교수는 노동소득분배율이 1%포인트 증가하면, 총수요는 1.24~2.19% 증가한다고 밝혔다. 국제노동기구와 홍 교수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기업의 이윤이 늘어나는 것보다 가계의 임금이 늘어나야 총수요 진작을 통한 경제성장이 가능하다. 국제노동기구의 보고서를 쓴 외즐렘 오나란 영국 그리니치대 교수와 요르고스 갈라니스 영국 워릭대 교수는 “임금 몫의 의미있는 증대를 통한 세계 경제의 성장은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충분하다. 경제 성장과 소득 불평등 개선은 양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류이근 김경락 기자 ryuyigeun@hani.co.kr ▷ 관련 기사 : 위기의 한국 경제, 가계소득 높여야 산다 ▷ 관련 기사 : 수출 대기업이 번 돈, 가계로 흘러들어야 ‘경제 선순환’ ▷ 관련 기사 : IMF·OECD·다보스포럼 ‘소득 불평등’ 개선 권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