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경제일반

“나눔이에요, 기부는 우월해서 도와준단 느낌이 들잖아요”

등록 2012-09-27 20:03수정 2012-10-11 10:22

누구나 쉽고 즐겁게 기부할 수 있는 ‘도너도넛’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34살 동갑의 ‘소셜 벤처 기업가’들이 25일 밤 서울 강남역 입구에 모였다. 왼쪽부터 이동한, 원은정, 김호년, 박희영, 고영국씨.
누구나 쉽고 즐겁게 기부할 수 있는 ‘도너도넛’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34살 동갑의 ‘소셜 벤처 기업가’들이 25일 밤 서울 강남역 입구에 모였다. 왼쪽부터 이동한, 원은정, 김호년, 박희영, 고영국씨.
[99%의 경제]
34살 대기업 젊은이들 ‘소셜 벤처’ 도전
애플리케이션 ‘도너도넛’
한 명이 메신저로 제안
아내도 용기를 불어넣었다
몇 달 뒤
고용노동부 경연대회서 대상

무너지는 농촌의 집
누군가가 사진을 올리고
‘도넛하자’고 제안하면
건축가가 설계도면 제공하고
‘일꾼들’ 참여 이어지는 식

몇푼이라도 이익 생기면
취약계층 아이들 돕자 의기투합
“기부는 돈있는 사람만 하나요?
시골 할머니도 고구마 기부하고
기쁨 느낄수있게 해드리고 싶어요”

“기부는 돈있는 사람들만 하나요? 우리 시골의 가난한 할머니도 고구마를 기부하고, 그 기쁨을 느낄 수 있게 해드리고 싶어요.”

잘나가는 34살 동갑내기들이 ‘소셜 벤처’에 가슴과 머리를 던졌다. 놀이하듯이 즐기면서 기부할 수 있는 ‘도너도넛(Doner Donut)’이라는, 톡톡 튀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도너도넛팀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최근 연 소셜벤처 경연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 소셜 벤처는 사회적가치와 경제적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창업 초기 단계의 사회적기업 모델이다.

15명의 도너도넛팀을 이끄는 리더는 박희영씨. 박씨는 엘지(LG)전자의 정보기술 개발부서에서 일하는 유능한 연구원이다.

“나 자신이 한부모 취약계층이어서 어릴 때부터 이웃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자랐어요. 초중고 때는 선생님이 등록금 내주시고, 대학 입학금은 옆집 분이 도움을 주셨어요. 이제 대기업의 8년차 선임연구원으로, 결혼해서 아이낳고 홀어머니한테 용돈도 꼬박꼬박 드리고 있습니다. 나만 등 따시고 배부르면 되나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소셜 벤처 하겠다니까 전업주부인 아내가 먼저 거들어주었습니다. ‘그런 일 한다고 밥 굶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용기를 냈습니다.”

지난 25일, 서울 강남역 근처의 한 모임방에 도너도넛팀의 78년생 핵심 멤버 5명이 모였다. 대기업에서 일하거나 자기 사업체를 갖고 있는, 하나같이 마음이 참해 보이는 젊은이들이었다.

“저는 지금 하는 개발 일을 좋아해요. 그러면서도, 늘 남을 돕는 일을 하고 싶다는 마음이 있었어요. 몇달 전 희영이가 ‘도너도넛’을 함께 하자고 메신저로 제안을 보내왔어요. 곧바로 ‘오케이’(OK) 답신을 보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개발 일로 남을 도울 수 있게 됐잖아요.”(김호년, 박씨의 엘지전자 동료)

“대학 때부터 희영이와 코드가 맞았어요. 굿네이버스 같은데 기부하자는 이야기를 서로 나눴지요.” 대신증권에 다니는 이동한씨와 개인사업을 하는 고영국씨는 박씨의 대학 동기이다. 고씨는 이미 자기 사업을 정리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소셜 벤처 ‘도너도넛’팀의 전업 직원 1호가 될 참이다.

“나중에 도너도넛 사업에서 몇푼이라도 이익이 생긴다면 취약계층 아이들을 돕는데 모두 쓰자고 의기투합했어요.” 원은정씨는 박씨의 고향(강원도 원주) 친구. 기업교육 사업체의 대표인 원씨는 취약계층 아이들을 위한 비영리 치유 캠프를 운영해 또 하나의 명함(한국청소년센터 센터장)을 갖고 있다. 어려운 아이들을 돕는 일을 하는 원씨와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낸 박씨는 자연스럽게 ‘소셜 벤처’의 한배를 탔다.

지난 21일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주최한 전국 소셜 벤처 경연대회의 수상자들이 한자리에 섰다. 도너도넛팀이 3000만원 상금의 대상을 받았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제공
지난 21일 고용노동부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주최한 전국 소셜 벤처 경연대회의 수상자들이 한자리에 섰다. 도너도넛팀이 3000만원 상금의 대상을 받았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제공
소셜 벤처 대회를 주관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쪽은 도너도넛 팀의 실현가능성과 진정성을 높이 평가했다. 대기업 정보기술(IT) 전문가들의 아이디어와 기술이 총집결된 도너도넛의 애플리케이션은 심사위원들의 눈길을 확 잡아끌었다. “도너도넛에 들어온 친구들은 ‘도넛하자’는 말을 쓰게 됩니다. 기부하자는 뜻이지요. 또 도넛소식 메뉴에 들어가서, ‘너 어제 이효리 도넛(기부물품) 봤니’하는 식으로 대화를 나눕니다.”(이동한)

도너도넛의 화면은 도넛소식 말고도 물품, 재능, 희망의 모두 4개 메뉴로 구성돼 있다. 물품 뿐 아니라 사진찍기와 피아노레슨, 청소년상담 같은 재능을 기부할 수 있다. 희망 메뉴는 ‘심장병 어린이를 도웁시다’등의 캠페인을 벌일 수 있는 공간이다. 누군가가 무너지는 농촌의 집 사진을 올리고 ‘도넛하자’고 제안하면, 건축가가 설계도면을 제공하고 ‘일꾼들’의 참여가 이어지는 희망프로젝트가 기대된다.

도너도넛은 10월 말에 베타버전을 출시하고, 내년 상반기에 ‘사회적기업’을 설립할 예정이다. 그전까지 기부를 받아야 할 단체들이 ‘도넛친구’로 최대한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알리고 ‘동지’를 구하는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물론, 도너도넛팀이 지금까지 만나 본 몇몇 단체들의 반응은 대환영이다.

도너도넛팀은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도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경제성이 뒷받침돼야 가치있는 사업을 지속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도너도넛에 참여하는 대기업을 1차적인 수입원으로 생각해요. 예를 들어, 삼성이 갤럭시폰 10대를 기부하겠다면 그 아래에 삼성의 사회공헌 링크를 걸어주고 비용을 받는 거죠. 기부물품의 거래가 이뤄질 때마다 최소한의 수수료를 떼는 방안도 고심하고 있고요.”(박희영)

15명의 도너도넛팀 멤버들이 새로 설립하는 소셜 벤처 사업체에서 모두 전업 근무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마도 기존 직장에 남아 재능기부 등의 방식으로 후원하는 사람들이 더 많겠죠. 하지만 사회적혁신에 참여한 경험은 이미 우리 모두의 삶을 바꿔놓고 있습니다.”(원은정)

“우리는 기부라는 말을 나눔으로 바꿔 쓰려고 해요. 기부라고 하면 내가 우월하기 때문에 도와준다는 느낌이 들잖아요. 이 말을 기사에 꼭 넣어주세요.”

글·사진 김현대 선임기자 koala5@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1.

또 사이트 터질라…‘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단독] 성 상품화 논란 ‘누드 촬영대회’에 지자체 예산 수천만원? 2.

[단독] 성 상품화 논란 ‘누드 촬영대회’에 지자체 예산 수천만원?

부영그룹, 또 출산 직원에 1억원씩…“아기 울음 소리 늘어” 3.

부영그룹, 또 출산 직원에 1억원씩…“아기 울음 소리 늘어”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4.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5.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