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 극심한 수출 부진 등의 영향으로 올해 경제성장률이 1.3%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 컨테이너들이 쌓여있는 모습. 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에서 1.3%로 0.2%포인트 낮췄다.
한경연은 9일 내놓은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2/4분기’ 보고서를 통해 “금리 상승으로 소비·투자 위축과 중국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미미해 수출 부진이 심화하고 있다”고 성장률 하향 조정 이유를 밝혔다. 이같은 성장률 전망치는 1998년 외환위기, 2009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등 외부 변수에 따른 경기 침체기를 제외한 기간 중 가장 낮다.
내수는 민간소비·설비투자·건설투자 약세로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2022년 민간소비 성장률 4.3%의 절반 수준이다. 금리 인상으로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이 급증했고, 상반기 물가급등 및 경기둔화에 대한 불안감으로 소비 여력이 크게 줄어든 게 원인으로 꼽혔다.
설비투자는 주요 수출국의 경기회복세 약화에 따른 대외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역성장(-3.6%)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금리 인상에 따른 자본조달 비용의 상승 역시 설비투자에 대한 제한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부진을 거듭해온 건설투자 역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공사 차질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불확실성으로 역성장(-0.5%)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 경제성장의 견인차 구실을 해온 수출은 0.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기대했던 중국의 리오프닝(경기 회복) 효과가 지연됨에 따라 당초 전망치 1.2%에서 1.1%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분석됐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하반기 이후에도 리오프닝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성장률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며 “정부 정책 여력이 소진된 가운데, 부채 리스크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경기불황이 경제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