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에이미>에서 에스메 역을 맡은 윤소정(아래)씨와 프랭크 역의 이호재씨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예술극장에서 오랜 생활 함께 호흡을 맞춰온 이력을 보여주듯이 다정한 모습을 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우리는 짝]
연극배우 윤소정-이호재
연극배우 윤소정-이호재
“극장에 가야 한다는 말에 등 떠밀려 가진 말아요. 나는 연극이 좋은 거라고 하니까 의무감에 극장을 찾은 사람들이 아니라, 정말로 연극을 좋아하는 사람들 앞에서 연기를 하고 싶어. 그런 사람들이 많지 않다면 아주 소수의 관객만 놓고 하면 되니까.”
연극 <에이미>에서 사위 ‘도미닉’이 “저희 세대는 극장에 잘 안 간다”고 빈정거리자 장모인 배우 ‘에스메’가 점잖게 충고하는 말이다.
1973년 ‘초분’서 첫 호흡 맞춘 뒤
부부로 때론 애인으로 13편 함께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중인 이 연극에서 에스메 역을 맡은 윤소정(69)씨와 ‘프랭크’ 역의 이호재(72)씨의 50년 연기 인생이 그러했다. 두 배우는 1973년 연극 <초분>(오태석 작·유덕형 연출)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이래 올해로 40년째 한 무대에서 연극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 그동안 두 사람이 부부, 애인 등 남녀 주인공으로 함께 한 연극은 <태>(1974), <출세기>(1974), <매디슨카운티의 다리>(1996), <비 오는 날의 축제>(1997),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2002), <졸업>(2003), <에이미>(2010), <그대를 속일지라도>(2010), <응시>(2011) 등 13편에 이른다. <초분>과 <태>, <출세기>, <에이미> 등은 여러 차례 앙코르 공연을 했다. 심지어 이호재씨가 처음 출연한 영화인 <이혼하지 않은 여자>에도 윤소정씨가 함께 출연했다. 원로 연극평론가 구히서씨가 “무대 위에서 매력 있는 여배우”라고 극찬하는 윤소정씨와 ‘연기의 교과서, 대사의 달인’으로 불리는 이호재씨 연기 커플을 지난 18일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만났다. “40년 세월을 같은 무대에 선 경우는 한국에도 없고, 외국에도 없을 거야. 국립극단에서 오랫동안 함께하셨던 백성희(88) 선생님과 고 장민호(1924~2012) 선생님도 우리만큼은 아닐 거예요. 더군다나 이호재씨나 나처럼 서로 다른 극단에 있으면서 오랜 세월 같이 연극을 한 이들은 없을 거야.”
윤소정씨는 “이호재씨가 남을 배려하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무대에서 가장 편한 배우이고, 남자로서도 매력이 있다”고 40년 연극 지기를 추어올렸다. 그러자 이호재씨도 “대개 여배우는 미모가 받쳐주면 연기가 안된다든지 연기가 잘되면 조금만 더 외모가 도왔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있는데 이 양반은 두 가지 다 갖추고 있다”고 맞장구를 친다.
“한 여성으로 보았을 때는 오십 중반 넘어가면 아줌마라는 느낌이 들고, 육십 전후면 여자라기보다는 어머니라는 느낌이 드는데 윤소정씨는 육십이 훨씬 넘은 나이에도 여자로 보이는 거예요.”(이호재)
윤소정씨가 이호재씨보다 세 살 밑이지만 연기 데뷔는 한 해 이르다. 영화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18살인 1962년 <동양방송>(TBC) 공채 1기 탤런트로 데뷔했다. 그의 아버지 고 윤봉춘(1902~75)은 나운규(1902~37)와 함께 한국영화를 개척한 배우이자 <윤봉길 의사>, <유관순>, <백범국민장실기> 등을 만든 영화감독이었다. 또 오빠 윤삼육(76)씨는 영화 <뽕>과 <장군의 아들>의 시나리오를 쓰고, <살어리랏다>, <참새와 허수아비>를 연출했던 시나리오 작가이자 영화감독이다. 이런 집안 내력인지 그는 서울 동명여중과 동명여고 시절 무용대회 상이란 상은 휩쓸다시피 했고, 무용가 강선영(태평무 인간문화재) 밑에서 조교 생활도 했다. 윤씨의 연극 데뷔는 1966년 국립극장에서 초연했던 극단 자유의 <따라지의 향연>이었다.
윤씨는 “아버지가 영화 <유관순>을 세번 제작했는데 온 가족이 다 동원되었다. 어릴 때부터 연기 맛을 알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몸에 밴 것 같다”고 그때를 떠올렸다. 그 경험이 녹아 뒷날 대한민국연극대상 연기상과 히서연극상의 ‘올해의 연극인상’, 이해랑 연극상, 서울공연예술제 개인연기상, 백상예술대상 인기상, 동아연극상 등을 수상하는 데 밑거름이 되었음이야 두말할 것이 없다. 또 배우자인 연극배우 오현경(77)씨와 가정을 꾸며 영화배우인 딸 오지혜(45), 영화감독인 사위 이영은(42)씨를 두었으니 연기 생활은 그의 디엔에이에 박힌 숙명인 듯하다.
연극계 미스터리 ‘삼총사 방뇨사건’
40년 넘은 옛일 떠올리며 깔깔깔
얼굴 붉히며 다툰 적? 딱 2번 있어 이호재씨는 동랑 유치진(1905~74)이 설립한 서울연극아카데미(현 서울예대 연극영화과) 1기를 졸업한 뒤 1963년 친구 김벌래(72·홍익대 교수)의 극단 ‘행동무대’에서 <생쥐와 인간>으로 배우 데뷔를 했다. 그는 서울 남산 드라마센터 동랑레퍼터리극단(1964~75)과 국립극단(1975~80)의 배우 생활에 이어 극단 산울림, 극단 성좌, 현대극장 등과 작업하면서 150여편에 출연했다. 한국연극예술상, 서울연극제 연기상, 이해랑 연극상, 한국배우협회 연기상, 백상예술대상, 동아연극상 등을 휩쓸었다. 2011년엔 정부에서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두 사람은 연극 <초분>에서 처음 무대에서 만났으나 그에 앞서 1972년 연극 <쇠뚜기 놀이> 덕분에 인연을 맺었다. 그리고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아 연극계에 비밀리에 떠도는 ‘연희동 방뇨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윤소정씨가 오태석(73)씨 극작·연출의 <쇠뚜기 놀이>를 구경하려고 드라마센터에 갔다가 배우 이호재씨와 전무송(72)씨의 연기에 반했다. 당시 윤씨는 톱탤런트 오현경씨와 결혼으로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인기 탤런트였다. 무명의 희곡작가이자 연출가인 오태석씨는 집이 멀어서 연세대 선배인 오현경씨와 윤소정 부부의 서울 연희동 집에 살다시피 했다. “오태석씨에게 ‘그 두 남자 정말 잘 놀더라. 정말 멋있고 잘생겼어. 한번 연희동 우리 집에 데려와’ 하고 부탁했어요. 그날 저
녁에 오태석, 이호재, 전무송 셋이 잔뜩 술에 취해서 우리 집 의자에 앉았는데 중심을 못 잡고 자꾸 몸이 흘러내려요. 그렇게 술 취한 사람을 가까이서 본 것은 처음이지. 그리고 그날 밤 오태석씨가 자는 방에 누군가 방뇨하는 일이 벌어진 거예요.”(웃음)
윤소정씨는 “세 사람은 연극계에서 호가 난 술고래였다. 그날 사건은 심증은 가는데 물증이 없어서 지금까지 내가 밝히지 않고 있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자 이호재씨가 “나는 절대 아니다. 다음날 우리가 나오는데 오현경 선생이 차비와 담뱃값까지 챙겨주셨다. 그다음부터는 무서워서 술 마시고 못 가겠더라”며 웃음을 터뜨렸다.
윤소정씨는 “그날 오태석씨가 전무송, 이호재, 윤소정 우리 셋의 인연을 맺어주어서 지금까지도 ‘삼각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깔깔거렸다.
이 환상적인 연기 커플이 오랜 세월을 함께하면서 얼굴을 붉힌 일은 없었을까? 윤소정씨는 딱 두번 크게 화낸 적이 있었다고 일러준다. 두 사람이 드라마센터에서 <초분>, <출세기>, <태>를 함께 하고 이호재씨가 1975년 국립극단에 입단하면서 무대에 함께 서는 일이 끊겼다. 그때는 윤소정씨가 극단 산울림의 간판배우로 활약하던 때였다. 그러다 1996년 연극 <매디슨카운티의 다리>에서 연인으로 다시 만났다. 두 사람이 연습을 하는데 포옹 장면에서 이호재씨의 옷에 밴 술 냄새가 윤소정씨의 비위를 상하게 했다. 참다 못해 윤소정씨가 처음으로 그에게 “술 냄새 좀 안 풍길 수 없냐”고 따졌다. 그다음부터 이호재씨는 연습은 물론이고 공연 때도 일찍이 와서 “샤워도 하고 방향제를 뿌려가며 온갖 노력을 했다”고 한다.
이듬해에도 2인극 <비 오는 날의 축제>에서 또다시 연인 사이로 출연했다. 공연을 앞두고 두 사람이 대본 연습을 하는데 윤소정씨가 “다르게 읽으면 좋겠다”고 의견을 내놓았단다.
“그러자 이호재씨가 자존심이 상했는지 내 의견과는 반대로 더 과장해서 대사를 읽는 거예요. 화가 나서 대본을 접고 연습실을 나갔는데, 김영수 연출가와 김태수 작가가 나를 술집으로 데려가더라고. 그날 저녁 그 집에 이호재씨가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술 마시러 나타났어요. 바로 웃음이 터지면서 그게 끝이었어요.”
윤씨는 이 말끝에 이렇게 덧붙였다. “이호재씨는 자기가 세상에서 제일 잘난 배우지. 그런데 나는 진심으로 내가 잘하는 배우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어요. 나보다 잘하는 사람도 별로 없긴 하지만….”(웃음)
윤씨는 “그날 이후 질려서 그다음부터는 ‘어~ 잘난 사람이구나’ 하고 조심했다. 이호재씨는 누구한테 간섭도 안 하고 간섭하는 것도 싫은 사람이다”라고 넌지시 꼬집었다.
그러자 이호재씨는 “아니, 내 한 몸 추스르기도 힘이 드는데 남을 건사할 여유가 없는 거지” 하며 맞받아친다.
“호재씨, 무대밖에 모르는 천생 배우
대사의 달인답게 정말 잘 외워요” “소정씨, 미모에 연기력까지 겸비
모든 역 소화 가능한 매력적 배우” 가장 기억나는 작품을 묻자 윤씨는 <매디슨카운티의 다리>를 꼽았다. “작품 자체가 애잔하다”는 것이다. 이호재씨는 칠순 기념으로 공연한 <그대를 속일지라도>를 들었다. 그는 “물론 장난기가 섞여 있는 작품이긴 했지만 옛날 우리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고 소개했다. 40년 연극 지기로 서로에 대한 평가가 궁금했다. “지금 왕성하게 활동하는 여배우들을 보라는 거야. 한 가지 유형의 연기는 꽤 해요. 그런데 모든 역할을 다 소화할 수 있고, 다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배우로는 윤소정씨가 유일하죠. 사랑스런 여인 역(<매디슨카운티의 다리>)에서부터 그 엄격한 수녀 원장 역(<신의 아그네스>), 그 강렬한 강철 같은 여자 역(<강철>)까지 두루 잘할 수 있는 여배우가 어디 있느냐 말이야. 따져 봐요 한번.”(이호재) “이호재씨는 무대 위의 삶밖에 모르는 천생 배우죠. 그리고 무엇보다 잘하잖아요. 전혀 연기하는 것 같지 않게 편하게 해요. 대사의 달인답게 빨리 정확하게 외우고 아무리 큰 무대도 (관객에게) 다 전달하죠. 그래서 이호재씨와 같이 작업하면 편안합니다. 그동안 이호재씨와 하고 싶은 작품은 다 한 것 같아요. 굳이 욕심을 낸다면 <그대를 사랑합니다>같이, 노인네가 되어서 러브스토리나 해볼까나.”(윤소정) 구자흥(68) 명동예술극장 극장장은 “그 연배에 연극무대에서 살아남은 분들 가운데서도 호흡이 잘 맞는 상대역으로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서로한테 행운이리라는 생각이 든다. 두 분의 식지 않는 무대 열정은 우리 연극계의 귀감”이라고 말했다.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조현오 전 경찰청장 보석 허가
■ “왜 여친을 집에…” 나무라는 아버지 흉기로 찌른 아들
■ ‘내 딸 서영이’ 아빠 이삼재 죽을까?
■ ‘비빕밥’에 뿌려진 일본 ‘노리’…“기무치 꼴”
■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그녀를 만나는 법
부부로 때론 애인으로 13편 함께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중인 이 연극에서 에스메 역을 맡은 윤소정(69)씨와 ‘프랭크’ 역의 이호재(72)씨의 50년 연기 인생이 그러했다. 두 배우는 1973년 연극 <초분>(오태석 작·유덕형 연출)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이래 올해로 40년째 한 무대에서 연극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 그동안 두 사람이 부부, 애인 등 남녀 주인공으로 함께 한 연극은 <태>(1974), <출세기>(1974), <매디슨카운티의 다리>(1996), <비 오는 날의 축제>(1997),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2002), <졸업>(2003), <에이미>(2010), <그대를 속일지라도>(2010), <응시>(2011) 등 13편에 이른다. <초분>과 <태>, <출세기>, <에이미> 등은 여러 차례 앙코르 공연을 했다. 심지어 이호재씨가 처음 출연한 영화인 <이혼하지 않은 여자>에도 윤소정씨가 함께 출연했다. 원로 연극평론가 구히서씨가 “무대 위에서 매력 있는 여배우”라고 극찬하는 윤소정씨와 ‘연기의 교과서, 대사의 달인’으로 불리는 이호재씨 연기 커플을 지난 18일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만났다. “40년 세월을 같은 무대에 선 경우는 한국에도 없고, 외국에도 없을 거야. 국립극단에서 오랫동안 함께하셨던 백성희(88) 선생님과 고 장민호(1924~2012) 선생님도 우리만큼은 아닐 거예요. 더군다나 이호재씨나 나처럼 서로 다른 극단에 있으면서 오랜 세월 같이 연극을 한 이들은 없을 거야.”
2010년도에 함께 한 연극 <그대를 속일지라도>.
40년 넘은 옛일 떠올리며 깔깔깔
얼굴 붉히며 다툰 적? 딱 2번 있어 이호재씨는 동랑 유치진(1905~74)이 설립한 서울연극아카데미(현 서울예대 연극영화과) 1기를 졸업한 뒤 1963년 친구 김벌래(72·홍익대 교수)의 극단 ‘행동무대’에서 <생쥐와 인간>으로 배우 데뷔를 했다. 그는 서울 남산 드라마센터 동랑레퍼터리극단(1964~75)과 국립극단(1975~80)의 배우 생활에 이어 극단 산울림, 극단 성좌, 현대극장 등과 작업하면서 150여편에 출연했다. 한국연극예술상, 서울연극제 연기상, 이해랑 연극상, 한국배우협회 연기상, 백상예술대상, 동아연극상 등을 휩쓸었다. 2011년엔 정부에서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두 사람은 연극 <초분>에서 처음 무대에서 만났으나 그에 앞서 1972년 연극 <쇠뚜기 놀이> 덕분에 인연을 맺었다. 그리고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아 연극계에 비밀리에 떠도는 ‘연희동 방뇨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윤소정씨가 오태석(73)씨 극작·연출의 <쇠뚜기 놀이>를 구경하려고 드라마센터에 갔다가 배우 이호재씨와 전무송(72)씨의 연기에 반했다. 당시 윤씨는 톱탤런트 오현경씨와 결혼으로 장안의 화제가 되었던 인기 탤런트였다. 무명의 희곡작가이자 연출가인 오태석씨는 집이 멀어서 연세대 선배인 오현경씨와 윤소정 부부의 서울 연희동 집에 살다시피 했다. “오태석씨에게 ‘그 두 남자 정말 잘 놀더라. 정말 멋있고 잘생겼어. 한번 연희동 우리 집에 데려와’ 하고 부탁했어요. 그날 저
2003년 공동출연한 연극 <졸업>.
대사의 달인답게 정말 잘 외워요” “소정씨, 미모에 연기력까지 겸비
모든 역 소화 가능한 매력적 배우” 가장 기억나는 작품을 묻자 윤씨는 <매디슨카운티의 다리>를 꼽았다. “작품 자체가 애잔하다”는 것이다. 이호재씨는 칠순 기념으로 공연한 <그대를 속일지라도>를 들었다. 그는 “물론 장난기가 섞여 있는 작품이긴 했지만 옛날 우리의 젊은 시절을 떠올리게 한다”고 소개했다. 40년 연극 지기로 서로에 대한 평가가 궁금했다. “지금 왕성하게 활동하는 여배우들을 보라는 거야. 한 가지 유형의 연기는 꽤 해요. 그런데 모든 역할을 다 소화할 수 있고, 다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배우로는 윤소정씨가 유일하죠. 사랑스런 여인 역(<매디슨카운티의 다리>)에서부터 그 엄격한 수녀 원장 역(<신의 아그네스>), 그 강렬한 강철 같은 여자 역(<강철>)까지 두루 잘할 수 있는 여배우가 어디 있느냐 말이야. 따져 봐요 한번.”(이호재) “이호재씨는 무대 위의 삶밖에 모르는 천생 배우죠. 그리고 무엇보다 잘하잖아요. 전혀 연기하는 것 같지 않게 편하게 해요. 대사의 달인답게 빨리 정확하게 외우고 아무리 큰 무대도 (관객에게) 다 전달하죠. 그래서 이호재씨와 같이 작업하면 편안합니다. 그동안 이호재씨와 하고 싶은 작품은 다 한 것 같아요. 굳이 욕심을 낸다면 <그대를 사랑합니다>같이, 노인네가 되어서 러브스토리나 해볼까나.”(윤소정) 구자흥(68) 명동예술극장 극장장은 “그 연배에 연극무대에서 살아남은 분들 가운데서도 호흡이 잘 맞는 상대역으로 만날 수 있다는 것은 서로한테 행운이리라는 생각이 든다. 두 분의 식지 않는 무대 열정은 우리 연극계의 귀감”이라고 말했다.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조현오 전 경찰청장 보석 허가
■ “왜 여친을 집에…” 나무라는 아버지 흉기로 찌른 아들
■ ‘내 딸 서영이’ 아빠 이삼재 죽을까?
■ ‘비빕밥’에 뿌려진 일본 ‘노리’…“기무치 꼴”
■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그녀를 만나는 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