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의 시네마 즉설
화장
화장
몇 년 전 영상자료원에서 임권택 감독 회고전을 할 때 그동안 보지 못했던 임권택 감독의 영화들을 몰아 볼 기회가 있었다. 소설가나 화가가 자기 작품과 맺는 관계가 그러하듯이 집단예술인 영화의 경우도 영화의 작가는 영화감독이라고 주장한 작가주의 비평가들이 아주 오래전에 주장한 극언 중에 작가의 실패작은 장인의 걸작보다 낫다는 말이 있다. 임권택 감독의 범작을 보며 그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1980년대 초에 임권택이 만든 영화들 중에 <오염된 자식들>이란 작품이 있다. 안성기, 방희 등이 주연한 영화로 가난한 월급쟁이 남자사원이 불구의 사장 딸과 정략결혼한 뒤에 도덕적으로 타락하는 모습을 담은 내용이다. 적당히 노출 장면도 집어넣고 전형적인 전개로 이어지는 영화는 임권택 감독 특유의 매몰찬 묘사가 군데군데 압권이었다. 특히 마지막 장면, 뒤늦게 자신의 과오를 뉘우친 주인공에게 어떤 구원의 가능성도 주지 않고 야멸차게 끝내버리는 결말이 망치로 얻어맞은 기분이 들게 했다.
나는 임권택 감독이 자신의 영화 속 인물과 맺는 그 적절한 거리감이 늘 좋았다. 가차 없이 냉정한 듯이 보이지만 실은 인간이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다는 관용도 충분히 의식하고 있는 미묘한 거리감이다. 신작 <화장>에서도 비슷한 감흥을, 보다 깊어진 연륜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잘나가는 화장품 회사의 상무가 자기 부서에 입사한 경력사원인 젊은 여자에게 정념 비슷한 걸 느끼는 줄거리와 그가 병간호하는 죽어가는 아내의 육체에서 일어나는 일을 묘사하는 이 영화는 인간이 얼마나 약해질 수 있는가, 동시에 그걸 수습할 수 있는가를 담은 담백한 증거들의 채집물 같다.
혹자는 안성기가 뛰어나게 연기한 오정식 상무의 주관적인 환상 장면, 전체 리듬에서 이질감을 드러내는 장면들이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하지만 나는 생각이 다르다. 나는 겉보기엔 평온한 듯 보이는 중년남자의 내면 속 이물질, 욕망이라는 이물질을 가리키는 그 장면들이 적절해 보였다. 아울러 서로 사랑하거나 우정으로 맺은 관계에서도 어쩔 수 없이 상처를 주고받으면서 각자 받게 되는 내상이란 것에 대해 이 영화만큼 예리하게 짚어내는 영화도 드물지 않나 싶다. 인간의 관념이 얼마나 위대한 것인지는 몰라도 결국 몸을 쓰는 동물이라는 것, 몸에 따른 우리의 반응은 굉장히 연약하다는 것을 이 영화는 외과의사의 정확한 눈으로 진찰하고 있다. 그 결과 남는 것은 연민도, 동정도 아니다. 관객으로 하여금 연민할 수도, 동정할 수도 없는 지점에 몰아넣고 주인공들을 관찰하게 하는 것이 이 영화의 힘이다. 우리 누구라도 그러할 수 있다는 것을 끝내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함으로써 이 영화는 남녀 주인공들을 긍정하게 만든다. 차갑게 보이지만 쓸데없는 위로의 가식을 벗어던진 근본적인 인간애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화장>을 높게 평가하고 싶다.
김영진 명지대 교수, 영화평론가
김영진 명지대 교수, 영화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