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오모리현 롯카쇼무라의 풀르토늄 추출을 위한 폐연료봉 재처리 공장 모의 작업광경. 일본과 이스라엘은 미국의 지원 아래 이웃국가들에 선제공격론을 펴면서 군사대국화로 나아가는 공통점을 지녔다. AFP 연합
북한 미사일 발사 뒤 흥분한 일본 이란 핵개발에 공격 운운 이스라엘과 닮은꼴
이참에 재무장·MD 구축 가속도 속셈 김정일 위원장에 감사장이라도?
이참에 재무장·MD 구축 가속도 속셈 김정일 위원장에 감사장이라도?
안과 밖/일본의 대북 선제공격론 북한의 미사일 발사시험이 있은 지 나흘 만인 지난 7월9일 지구촌은 또 다른 미사일 시험발사 소식을 들었다. 인도가 아그니-3 미사일(최대 사정거리 4000㎞)을 벵골만 상공의 대기권으로 쏘아 올렸다는 소식이었다. 아그니-3 미사일은 올해 5월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인도에 갔을 때 맺었던 미-인도 핵협력 조약 뒤 행해진 첫 미사일 시험이다. 따지고 보면 종류는 다르지만, 인도나 북한이나 다같이 미사일을 쐈다. 그런데 인도에 대해선 별말이 없고 북한에게만 시끄럽다. 결국은 친미냐 반미냐의 이분법이 문제다. 세상물정을 모르는 꼬마아이의 눈에도 진실은 보인다. 벌거벗은 임금님 우화처럼 국제정치 지도자들은 자유평화니 민주주의니 하는 가식적 논리의 옷을 걸치고 있는 모습이다. 전쟁과 군사 관련분야의 세계적 싱크탱크인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최근에 펴낸 <2006년 군비·군축·국제안보 연감>은 친미국가인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3개국에 매우 비판적이다. 이들 3개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에도 가입하지 않은 채 미국이란 뒷심을 믿고 핵탄두 숫자를 늘려나가는 것은 물론이고, 이들을 실어나를 사정거리가 좀더 먼 미사일을 개발 중이다. 그렇다. 21세기 유일 패권국가인 미국이 푸른 신호등을 달아주면 미사일이건 핵무기건 언제라도 시험발사를 할 수 있다. 인도나 파키스탄, 그리고 이스라엘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게 아니라 북한이나 이란처럼 ‘악의 축’이라고 빨간 신호등을 달아 놓으면? 어떠한 미사일-핵 실험도 지역안정, 나아가 지구촌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라고 욕을 바가지로 먹는다. 북한이 미사일을 쏘아올렸을 때(7월5일 새벽) 미국은 아직 7월4일이었다. 독립기념일을 맞아 저녁 불꽃놀이 준비를 하던 중에 북 미사일 발사소식을 들었다. 세계적인 영향력 지닌 워싱턴의 두뇌집단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간판급 연구자인 앤서니 코즈먼은 북한 미사일 발사 바로 뒤 낸 정세분석 글에서 이렇게 투덜댔다. “북한은 분명히 7월4일에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이 미국을 화나게 만들고 미국에 도전하는 것임을 잘 알고 그 날을 잡았다. 아울러 세계를 향해 미사일 실험을 그만두라는 미국의 요구에 위협을 느끼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7월4일을 미사일 발사일로 잡았다.”
북한이 미사일을 쏘아 올린 뒤 관련 이해당사국들이 보인 반응은 다양했다. 그 가운데 일본은 집단 히스테리에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흥분상태다. 유엔 안보리에 북한을 제재하는 결의안을 앞장서 내고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론마저 펴고 있다. 북한 미사일이 일본을 겨냥하고 있는 게 분명한 만큼 그 위협을 먼저 제거해야 한다는 논리다. 기존의 미-일동맹에 따르면, 일본은 방어 중심, 미국은 공격을 맡는 역할 분담이 돼 있다. 일본 평화헌법 틀 속에서 일본 자위대는 공격 아닌 방어가 목적이다. 이른바 ‘전수방위’ 개념 아래서다. 일본 우파 지도자들의 생각은 이 참에 선제공격론을 기정사실로 만들어 '해외에서의 무력행사'를 금지하는 지금의 평화헌법을 뜯어고치겠다는 기세다. 그렇다면 무엇으로 공격하겠다는 말인가. 일본 자위대엔 대륙간탄도탄(ICBM)은 물론 전략 폭격기와 공격형 항공모함이 없다. 사정거리가 1천6백km인 토마호크 같은 장거리 순항 미사일도 갖고 있지 못하다. 북한 선제공격론엔 거대한 음모가 도시리고 있다. 군사대국화로 ‘신일본의 영광’을 이룩하겠다는 꿈을 지닌 보수우파, 그리고 그 참에 기업매출을 증대시킬 욕심을 지닌 미국의 군산복합체가 손을 맞잡고 추진해온 일본 재무장이란 거대한 프로젝트가 북한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얼굴을 내민 셈이다. 인도 미사일 발사엔 ‘파란등’
이스라엘 디모나 핵개발센터. 디모나/김재명
김재명/국제분쟁전문가, 성공회대 강사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