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열 외교부 2차관이 29일 오후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을 방문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정부의 합의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고개 숙여 인사를 하고 있다. 광주/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진보 문인 단체 한국작가회의(작가회의·이사장 이시영)는 30일 한국과 일본 정부가 28일 발표한 위안부 합의문을 비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작가회의는 ‘한일 양국간 위안부 협의문은 굴욕이다, 즉각 파기하라’는 제목으로 낸 성명에서 양국 정부간 협의문에도 불구하고 “법적 책임 문제를 일본 정부는 이번에도 인정하지 않았다”며 “애매한 외교적 언사만 난무할 뿐 역사에 대한 책임도 피해자들에 대한 진심어린 사과도, 해결을 위한 의지도 전혀 찾아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작가회의 성명은 “직접적 피해자인 위안부 할머니들과 관련 단체들의 의견을 듣고 양해를 구하는 절차도 없이 정부는 독단적으로 협의문을 발표했다”며 “게다가 정부는 이번 합의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결정이라고 못박음으로써 불완전한 사죄와 반성을 추궁할 여지마저 제한해 버렸다”고 비판 이유를 설명했다.
작가회의는 이어 “한국 정부는 더 이상 역사적 진실과 책임을 요구하며 지켜온 국민들의 자존을 더럽히지 말라. 개인적 고통을 넘어 국가 폭력과 여성 인권 유린에 항의하며 싸워 온 위안부 할머니들의 한 평생을 모욕하지 말라”며 협의문 폐기를 촉구했다.
정우영 작가회의 사무총장은 “이번 성명 발표는 한일 정부간 협의문에 대한 한국 작가들의 실망과 분노를 담은 것”이라며 “앞으로 관련 당사국인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일본의 동료 문인들과도 연대해 위안부 문제의 올바른 해결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재봉 선임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