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연인들은 ‘장소’를 발명한다 [책&생각]

등록 2023-01-13 05:00수정 2023-01-13 10:48

장소의 연인들
이광호 지음 l 문학과지성사 l 1만4000원

계단, 발코니, 지하실, 다락방, 욕조. 이들 ‘장소’는 물리적인 공통점은 없지만, 상상력을 조금만 발휘하면 유사점 찾기는 어렵지 않다. 예컨대 이런 거다. 서로에게 혼절할 만큼 탐닉하는 연인이 마주 선 좁은 계단, 고백의 언어가 점령한 발코니, 짧은 입맞춤이 벌어진 어둑한 지하실이나 다락방, 서로의 몸에 스며들기 위해 안달하며 따스한 물에 몸 담근 연인이 고른 욕조라고 상상하면 말이다.

“사랑이라는 사건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소가 필요하다.” 특정한 장소가 그들 연인들의 ‘장소’가 되기 위해선 “사랑의 ‘수행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기에 “어떤 특정한 장소들은 ‘사랑-하다’의 행위를 통해 ‘장소-하다’의 자리가 될 수 있다.” 결국 “연인들은 장소를 발명”한다고 해도 무방하다.

<장소의 연인들>은 이렇게 “장소와 연인들의 공동체” 개념 탐구로 시작해, <로미오와 줄리엣> <책 읽어주는 남자> <큐 식물원> <너무 시끄러운 고독> <단순한 열정> <어렴풋한 시간> 등 수십편이 넘는 문학 작품 속 연인들의 장소를 골라내 그 개별성을 추앙한다. 온갖 문학 속 ‘장소’를 작가만의 잣대로 사유하는 아주 희한하고 진기한 텍스트가 종횡무진 마음을 사로잡는다. 여기에 익명의 ‘나’와 ‘그’의 교차 시선마저 덧붙여 저자가 그동안 작업해온 ‘익명 에세이’ ‘픽션 에세이’의 트랙을 연장한다.

문학평론가인 저자 특유의 사유체계에 기꺼이 편입하게 만드는 이 책은 “비대면 시대에 접촉의 장소성을 사유하는” “사고실험”인 동시에 어찌 보면 숨 막히게 지적인 에로티시즘 생각 놀이터다. 다양한 국내 필자들의 사유를 담는 시리즈 ‘채석장 그라운드'의 첫 출간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2.

노안이 오면 책을 읽으세요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3.

괴물이 되어서야 묻는다, 지금 내 모습을 사랑해 줄 수는 없냐고

‘해뜰날’ ‘네박자’ 가수 송대관 별세 4.

‘해뜰날’ ‘네박자’ 가수 송대관 별세

책을 읽다가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는 이유는 [.txt] 5.

책을 읽다가 밀리터리 프레스를 하는 이유는 [.txt]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