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원풍모방 여공이 쓴 ‘소설 아니면 못 쓰는’ 노동자 이야기 [책&생각]

등록 2023-01-13 05:00수정 2023-01-13 10:13

원풍모방 여공·노동사 기록
장남수, 만학 뒤 60대 첫 소설집

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소설
“노동자 언어로 딸들 위해 쓸 것”
첫 소설집 <파문>을 펼쳐 보는 장남수 작가. 작가 제공
첫 소설집 <파문>을 펼쳐 보는 장남수 작가. 작가 제공

파문
장남수 지음 l 강 l 1만4000원

이 소설집 단편들엔 신진 작품에서 흔히 보는 서사적 배치의 기교나 장치가 그닥 없다. 겨울 다 내어준 논밭처럼 나직한 서술로 속 얘기를 펼쳐 보인다. 독자에게도, 인물에게도 돌부리가 없고 함정이 없다. 악인이 없다. 그러니 복선이랄 것도 없어 보인다.

복선 하나가 아주 버젓이 있긴 하다. 작중 인물들 거개의 이력, 공단의 여공 출신. 주변 인물 여럿도 “촌에는 땅이 없고 도시에는 집이 없”는 70~80년대 도시 공장 노동자들이었다.

‘여공’은 눈에 보이는 사실이 아니라, 여공이 아닌 중년 시절에도 스스로 소스라치며 먼저 감지하게 되는 정체성이다. 근현대를 떠받친 냄새, 그러나 콘크리트로 발라버린 저류의 물소리와도 같다. 이것을 우리 모두 이제 잊거나 혹 부정하며 사는 ‘서민’의 ‘서민성’이라 해두자.

단편 ‘엄마의 빛’의 중년여성 미수는 시골서 혼자 제사상을 차리는 엄마에게 심통이 난다. 장사로 바쁘다는 자매들, 임박해 손님처럼 나타나는 중견기업 관리자인 남동생, 아이들과 미국 가 있는 올케가 아니라, 그러면서도 늘 자신에겐 일찍 와 힘이 되어줬다고 말하는 엄마, 아내 없는 남동생은 다시금 ‘엄마의 아들’이 되고 그런 아들에게 거듭 충실한 그림자가 된 엄마에게 심통이 나는 거다. 공장 경비직을 구해 가족들이 서울 단칸방으로 이사해 갈 때 국민학생이던 미수만 시골에 남겨져 담벼락에나 기대 울었다. 중학교 진학을 못 한 채 교복 입은 친구들을 피해 다니다 열다섯(1972년께)에 삼촌 아이를 돌보는 보모로 상경했을 때도 부모 형제와는 떨어져 살았다. 사촌 아기를 업은 채 갈 데도 아는 데도 없는 미수는 가족의 단칸방 동네를 찾아가곤 했다.

요양보호사로 이번엔 정말 바빠 못 간다고 해놓고서 미수는 또 그 엄마의 시골로 가 전을 굽는다. 그날 ‘옆집 아재’한테 몸이 허청대는 말을 듣는다. 남동생 자식들 교육비 댄다고 엄마가 논을 판 것. 미수는 생각한다. 공장에 다니던 19살 여름, 휴가 맞아 외갓집 제사에 엄마와 단둘이 찾아가던 산길. 차도 없어, 컴컴해 소름 돋던, 해서 엄마 손을 잡고 “두려움 저편의 일상”을 마구 얘기했던 그 길. 노조가 있어 좋고 노조 사무실에 책이 많아 진짜 좋다고, 퇴근 뒤에 학원에 가서 공부도 한다고. 기억이 난다. 그때 엄마의 말과 손길.

이 소설은 엄마와 아들의 사이를 슬피 그려낸 이청준의 소설 ‘눈길’을 떠오르게 하는데, 뜻밖에 듣게 되는 서로 다른 두 갈래의 엄마 얘기로 미수의 마음에 일어난 파문이 그렇다. 엄마의 ‘빚’이 엄마의 빛으로 전이되는 여자와 여자 사이란 게 ‘눈길’과 다른데, 그 다름은 애틋하다.

상투적인 가난의 회고로 처연함이 가능한가, 그게 뭐라고. 하다면 다른 단편 ‘그기 머라꼬’를 볼 만하다. 두 구절로도 부족함이 없겠다. ‘그 엄마’가 ‘그 딸’에게 생애를 구술하는 형식이 소설의 처음부터 끝이다.

“…그게 참 미안타. 딸이라꼬 집에서도 일만 시키고 공장에 보내고… 동생들만 안고 서울 가는 부모를 응석도 못 부리고 바라보기만 했제? 내도 다 안다… 니도 부모 속 많이 썩있다꼬? 그기 뭐 니 탓이가, 더러분 시상 탓이지.”

“…니가 시퍼런 옷을 입고 가슴에 표 딱지 같은 걸 달고 나오는데 먼 말을 하겠노. 아부지가 빨개이 안 들어가고 한 시절을 넘깄더니 딸이 빨개이 소리를 듣는다 싶고… 유리 앞에서 니가 여기는 밥도 제때 잘 주고 책도 실컷 읽을 수 있고 야근도 안 해서 잠도 실컷 잔다고, 걱정 말라꼬 그리 당돌한 소리를 한 기 내 안 잊힌다… 내도 니 아부지가 울 줄은 생각도 못했다… 니는 그때는 에미 애비 억장 무너지는데도 상글상글 웃더만 와 이제 우노?”

두 단편은 닿아 있고 ‘엄마의 빛’에서 듣지 못한 더 많은 말이 ‘그기 머라꼬’에서 들린다. 이 말들엔 선후가 없다. 여공 출신 중년여성의 가난이 여전할 때의 자존심과 허세(‘물들인 날’), 가난이 덜해졌을 때의 성마른 여유나 오지랖(‘가이드’) 따위도 작가가 몸소 맡은 도시 서민의 냄새다.

원풍모방 노동조합 노동자들이 연행되어 가는 모습. 오픈아카이브(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archives.kdemo.or.kr/intro/archive) 갈무리
원풍모방 노동조합 노동자들이 연행되어 가는 모습. 오픈아카이브(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archives.kdemo.or.kr/intro/archive) 갈무리

그래서 소설집의 진짜 복선은 따로 있다. 작가가 ‘장남수’라는 잘 드러나지 않는 사실. 1970년대 부도난 회사도 살린 노동자들의 민주노조를 1980년대 신군부가 발라버린, 그러나 역대 가장 긴 저항과 그러면서 가장 많은 해고자를 기록하게 된 원풍모방 노조의 ‘여공’이었다. 전두환은 ‘사회정화사업’이라며 노조 간부들을 불법 구금했고, 삼청교육대(표제작 ‘파문’의 배경)로 보냈다. 1982년 9월말 수백명의 폭력배를 동원해 지부장을 17시간 동안 감금 폭행하다 자루에 담아 서울 화곡동 쓰레기장에 버리고, 500명 넘는 조합원들을 무참히 또 ‘내다 버렸다’. 집단해고된 이들 노동자는 이후 ‘블랙리스트’로 관리되어 재취업에 방해를 받았고, 일상을 사찰당했다. 이들은 세기가 바뀌어서야 민주화운동으로 인정받고, 2013년 일부나마 국가배상 판결을 받는다.

원풍모방 노조 농성 당시. 민주로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minjuroad.or.kr) 갈무리
원풍모방 노조 농성 당시. 민주로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minjuroad.or.kr) 갈무리

19살 원풍에 들어가 1980년 구치소에서 20살 성년을 맞았던 작가 장남수(65)는 이후 원풍에 대한 기록 모두에 관여한 이다. 자신의 세 자매 일터로, 스스로 수기 <빼앗긴 일터>(1984)를 썼고, 2020년 <빼앗긴 일터, 그 후>를 펴냈다. ‘국졸’의 그가 성공회대에 들어간 때가 2007년이니, 그의 수기가 대학 교재로 언급되어 감격한 때도 그즈음이다.

소설은 후일담이되 ‘후일담 너머’라야 옳다. 그 많은 기록을 해두고도 “소설이 아니면 쓸 수 없을 것 같은 이야기들이 와글와글 치밀면서도 엄두가 나지 않았다”는 그의 말대로다. 서영채 평론가 말(<우정의 정원>)마따나 “못 볼 꼴을 본 사람들이라야 볼 수 없는 것들을 보”는, 이르자니 ‘전망 소설’이다. 더군다나 이제 누구도 자신을 ‘서민’으로 보지 않는 시대에 말이다.

‘특권 없음’이 서민의 형식이자 윤리라면, 권리 평등한 ‘서민 중심 사회’에서 공동체적 서민성이 사라짐으로 남는 건 개인의 욕망과 그를 부추기는 자본뿐이다. 아수라의 맨 아래로부터 맨 위까지 부동산이 있다. 이 소설집 복판에 나란히 배치된 ‘그 집에는’과 ‘집의 조건’은 부동산으로 파괴되는 서민성의 실태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절대 패배하지 않는 기득권들이 아닌, 아웅다웅하는 요즘 사람들의 대개 다 패배하는 이야기, 그러면서 화해도 하는 이야기. 서민들의 복원이 바람 같아 60대 장남수의 첫 소설집은 10대 장남수의 첫 투쟁만큼이나 용기 있고 신세 지게 한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후기 딸들을 위한 여공의 소설 쓸 결심

노동소설은 읽히지 않는다. 어떤 명칼럼도 “노조”가 제목에 들어가면 클릭 되지 않는다. 그래서는 아니지만, 장남수 작가는 “노동운동을 얘기하고 싶은 게 아니”라고 12일 <한겨레>에 말했다. 이런 뜻이다. “함께 민주화운동을 했던 이들은 총리도 장관도 하고 우리도 내 일처럼 좋아했지만, 40년 동안 우린 늘 그 자리에서 빌딩 청소하고, 때를 밀고… 모험하는 노동을 해요. 이런 이야기까지 기록이나 에세이로는 절대 못 쓰겠어요. 역사는 지식인 중심으로 쓰이고, 소설에 간혹 등장하는 노동자 얘기는 늘 정말 다른 사람이 쓴 먼 얘기 같습니다. 내가 서 있는 자리서 아는 얘기로 우리 딸들이 읽는 글을 쓰고 싶거든요. 그래야 젊은이들도 어떤 희생들로 민주화가 이뤄진 것인지 아는 민주시민이 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어떤 노동자 소설은 읽혀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1.

‘소방관’ 곽경택 감독 호소 “동생의 투표 불참, 나도 실망했다”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2.

신라왕실 연못서 나온 백자에 한글 ‘졔쥬’ ‘산디’…무슨 뜻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3.

환갑의 데미 무어, 젊음과 아름다움을 폭력적으로 갈망하다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4.

“내가 정치인이냐? 내가 왜?”… 임영웅 소속사는 아직 침묵 중

중립 기어 밟는 시대, 가수 이채연의 ‘소신’을 질투하다 5.

중립 기어 밟는 시대, 가수 이채연의 ‘소신’을 질투하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