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수돗물 조류독소를 분석하고 있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제공
대구시가 수돗물 안전성 논란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을 줄이려 올해부터 수돗물 수질검사 항목과 검사 횟수를 늘린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6일 “수돗물 검사 항목을 지난해 315개 항목에서 올해 320개 항목으로, 상수 원수 검사 항목을 지난해 305개에서 올해 310개 항목으로 확대 실시한다”고 밝혔다. 조류경보 발령 단계에 따라 주 1~3차례 하던 검사를 주 2차례~매일 검사하기로 하는 등 검사 횟수도 늘린다.
추가 검사 항목은 마이크로시스틴-엘와이(LY), 마이크로시스틴-엘에프(LF), 실린드로스퍼몹신 등 조류독소 3개와 잔류농약 물질인 헥사코나졸, 산업용 유해유기물인 5-메틸벤조트리아졸 등 5개다. 이로써 맹독성 발암물질인 조류독소 검사 항목은 현재 7개에서 10개로 늘어난다. 상수도사업본부는 “하절기 평균기온 상승과 강수량 감소로 낙동강에 남조류가 대량 번식하면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마이크로시스틴-엘와이(LY) 등 3개를 추가해 총 10개의 조류독소를 검사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낙동강을 원수로 수돗물을 사용하는
부산시도 조류독소 검사 항목을 5개에서 10개로 늘려 전체 수돗물 검사 항목을 279개에서 284개로 늘린다고 밝혔다.
이승준 부경대 교수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검사 항목과 횟수를 늘리는 것은 시민의 안전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향”이라면서도 “강물에 어떤 종류의 독소가 있는지 검사한 뒤 그에 맞게 검사 항목을 정하는 것이 더 실효성이 있다. 녹조가 죽을 때 독성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남세균 세포를 기준으로 하는 조류경보와는 별도로 검사 횟수를 늘린다면 더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8월 환경운동연합은 대구 등 낙동강을 원수로 하는 영남지역 전역 수돗물에서 조류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밝혀 파장을 일으켰다. 환경부는 환경단체가 사용한 효소면역분석법(ELISA)은 정확도가 낮은 검사 방법이라며 3차례 자체 조사한 결과 마이크로시스틴은 검출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도 10월 자체적으로 검사한 결과 수돗물에서 조류독소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규현 기자
gyuhy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