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유치에 시장직 걸겠다”지만
5개시도, 국토부 결정 수용 합의
새누리, 선거 때마다 단골 공약
이명박 정부 백지화 뒤 또 ‘장사’
5개시도, 국토부 결정 수용 합의
새누리, 선거 때마다 단골 공약
이명박 정부 백지화 뒤 또 ‘장사’
새누리당이 텃밭인 영남권을 지키려고 선거 때마다 공약했던 동남권 신공항 문제를 또다시 들고나왔다. 동남권 신공항을 한차례 무산시켰던 여당이 또다시 동남권 신공항을 우려먹는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새누리당이 동남권 신공항을 선거 공약에 처음 넣은 것은 2007년 대통령 선거 때다.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는 영남권 일대를 누비며 “동남권 신공항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2008년 18대 국회의원 선거 때는 대구 달성군에 출마했던 박근혜 후보가 “동남권 신공항이 조기에 건설되면 (대구·경북이) 발전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있다”고 말했다.
2010년 지방선거 때는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가 경남지사 선거 지원유세에서 “한나라당 이달곤 후보 대신 무소속 김두관 후보가 당선되면 신공항이 밀양으로 오다가 되돌아갈 수 있다”고 말해 부산시민들의 반발을 샀다. 당시 3선에 도전하던 허남식 한나라당 부산시장 후보도 동남권 신공항을 가덕도에 유치하겠다고 공약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는 2011년 3월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한나라당이 세차례 공약했던 동남권 신공항 건설 계획의 백지화를 발표했다.
새누리당은 2012년 4월 19대 국회의원 선거 때도 ‘남부권 신공항 사업’으로 이름만 바꿔 공약에 넣었다. 이어 2012년 대통령 선거 때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는 부산이 예사롭지 않자 부산을 방문해 “신공항이 필요하다”며 진정시켰다.
새누리당은 서병수 부산시장 후보가 오거돈 무소속 후보와 접전을 벌이자 28일 중앙선거대책위원회를 부산 가덕도에서 열었다. 서 후보는 이 자리에서 “가덕도 신공항을 제 손으로 반드시 유치하겠다. 제 시장직을 걸겠다. 이 자리가 가덕도 신공항을 건설하기 위한 사실상 첫 삽을 뜨는 날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부산·대구·울산·경남·경북은 항공수요 조사와 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신공항 입지를 결정하기로 합의했다. 새누리당과 서 후보의 의지와 관계없이 국토교통부의 용역 결과에 따라 신공항 입지가 결정되는 것이다.
새누리당 쪽은 “여야 모두 동남권 신공항을 선거마다 공약에 넣지 않았느냐”며 양비론을 폈다. 부산지역 한 대학의 정치학 전문가는 “승리한 여당이 공약을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야당한테 기회를 주지 않았는데 동일한 잣대를 대는 것은 억지다. 대구·경북 출신 대통령 아래서는 신공항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구조인데 부산시민이 계속 속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