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화제의 승부 경기 용인시장
정찬민, 시민위·GTX 연계 공약
양해경, 남부권 순환 노선 추진
김학규, 역세권 개발 등 약속
정찬민, 시민위·GTX 연계 공약
양해경, 남부권 순환 노선 추진
김학규, 역세권 개발 등 약속
경기도 용인시는 최근 20년 사이 인구 10만명에서 96만여명의 대도시로 급팽창했다. 이 과정에서 지방 토호세력과 지역 정·관계가 유착되면서 한나라당 소속의 민선 1~4기 시장이 각종 비리로 사법처리됐다. 한해 평균 473억원, 30년 동안 3조원 넘는 시민 혈세를 쏟아부어야 할 ‘용인 경전철’은 ‘뻥튀기 수요’와 토착 비리가 빚어낸 참사다.
민선 6기 용인시장 선거에 나선 후보들은 저마다 경전철 해결의 적임자임을 내세웠다.
<중앙일보> 기자 출신인 새누리당 정찬민(56) 후보는 16 대 1이라는 전국 최고의 공천 경쟁을 뚫고 나섰다. 정 후보는 “교통 수요 예측 오류와 분당선과의 환승에 따른 요금 할인 미적용, 주민들의 출퇴근 교통수단으로의 인식 부족”을 경전철의 문제점으로 꼽았다.
‘최초의 여성 용인시장’에 도전한 새정치민주연합 양해경(60) 후보는 “경전철 전 건설 과정을 세부 점검하는 티에프(TF)를 구성하고 경전철 정상화를 위한 시민·전문가 원탁회의를 통해 민의를 모으는 한편, 비리 관련자들의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30여년 동안 여성, 청년, 생태 등의 다양한 시민활동을 해온 그는 용인시 주민참여예산위원장에 이어 경전철 주민소송 감사 청구인으로 활동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민선 5기 시장에 당선된 김학규(66) 현 용인시장은 이번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김 후보는 “시장 재임 중 사업자에게는 고수익을, 시에는 재원 부담을 안겨준 불합리한 경전철 사업 재구조화에 성공해 운임결정권 등 사실상의 경전철 운영권을 시가 행사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경전철 활성화 해법은 무엇일까? 김 후보는 “처인구와 역세권 개발, 기흥지역의 대중교통 허브화”를, 양 후보는 “인덕원~동탄 전철과 기흥역을 잇고 이매~여주 전철과 전대리역을 이어 수도권 남부지역 순환교통 노선화 계획 추진”을 약속했다. 정 후보는 “경전철 시민위원회 구성과 경전철을 한국민속촌, 수원도시철도 노선 및 지티엑스(GTX) 구성역과 연계하는 방안”을 공약했다. 이밖에 김상국(61·경희대 교수)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