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휴심정 벗님글방

이유도 모른 체 습관을 반복하지 않으시나요

등록 2021-07-11 16:24수정 2021-07-11 16:27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신혼여행을 다녀온 빌리는 아내가 훈제 돼지고기인 햄을 요리하는 것을 보았다. 아내가 후라이 팬에 햄을 집어넣기전 햄의 양쪽 끝을 잘랐다. 빌리는 아내에게 왜 햄의 양쪽 끝을 자르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아내가 빌리를 쳐다보며 말했다. " 나도 왜 그러는지 잘 모르지만 우리집에서는 어머니가 햄을 요리할 때마다 그렇게 했어" 얼마후 처갓집을 방문하게 되었 을 때, 빌리는 장모에게 물었다. "장모님, 햄을 후라이팬에 넣어 요리할 때 왜 햄의 좌우 끝을 잘라요?" 그러자 장모가 웃으며 말했다. "글쎄, 나도 왜 그렇게 하는지 이유는 모르겠지만, 우리 어머니가 그렇게 하셨기 때문일세" 빌리는 더욱 궁금해졌다. 그래서 아내의 할머니에게 장거리 전화를 했다. "할머니,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왜 할머니께서는 햄을 후라이 팬에 집 어넣고 요리하실 때 양끝을 자르셨냐요?" 그러자 할머니가 귀가 잘 안들리시느지라 큰소리로 말했다. "내가 가지고 있던 후라이팬은 아주 작아서, 햄 양 끝을 잘라야 요리할 수 있어서 그래."

+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습관과 관습이 같은 글자로 순서만 바뀌어 있는데, 그 의미는 다릅니다. 사전의 해석을 한번 보면, 습관 [習慣, habbit] 은 '같은 상황에서 반복된 행동의 안정화, 자동화된 수행'이고 관습 [慣習, custom] 은 '예로부터 되풀이되어 온 집단적 행동향식'입니다. 좀 간단히 말하면 습관은 한 개인 또는 동물의 반복된 행동 양식을 말하고, 관습은 특정 집단 전체의 습관화된 행동양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개인의 반복적 행위는 습관이고 집단의 반복적 행위는 관습이 됩니다. 그런데 많은 관습 중에는 왜 그렇게 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유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 때는 편의상 그렇게 시작되었는데 그 다음은 관습적으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글 문병하 목사/ 양주덕정감리교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휴심정 많이 보는 기사

최후의 인간이란 1.

최후의 인간이란

2.

3.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4.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나옹선사는

조현 기자의 '울림' 을 기뻐하는 기독교계 지인들이 한데 모였다 5.

조현 기자의 '울림' 을 기뻐하는 기독교계 지인들이 한데 모였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