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ESC] 꽃향기 가득 칵테일 낮술 부르네!

등록 2019-07-10 20:33수정 2019-07-10 20:43

백문영의 먹고 마시고 사랑하기
‘플라워 진’. 사진 백문영 제공
‘플라워 진’. 사진 백문영 제공

‘복합 문화 공간’이라는 말이 요즘 흔해졌다. 하지만 불과 3~4년 전만 해도 낯선 말이었다. 식당에서는 식사만, 바에서는 음주만 할 수 있다고 믿었던 때가 있었다. 지금은 그 양상이 달라졌다. 한 공간에서 음주도, 식사도 한다. 각종 클래스와 파티까지도 할 수 있는 곳이 많아졌다. 한 자리에서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하는 것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매력적이다. 이런 공간 대부분은 새롭고 신기한 경험을 제공한다. ‘플라워 진’도 그런 곳이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경리단길 초입, 맥주로 유명한 ‘맥파이’, ‘더 부스’ 그리고 ‘우리 슈퍼’로 들어가는 그 골목 들머리에 있다. 경리단길이 요란하게 뜨고 지기를 계속하는 동안 조용히 한 자리를 지켜온 곳이다. 짙은 회색으로 칠한 다소 어두운 외관과 좁은 입구 때문에 매일 지나다니는 이도 잘 모르는 곳이다.

무더위가 두렵던 어느 날 오후였다. “낮에 맥주나 한잔 하자”는 친구의 말에 “가벼운 칵테일부터 시작하자”고 응수했다. “세상 어떤 바가 대낮부터 문을 여냐”는 핀잔을 들었지만, 그런 말을 한 친구를 끌고 플라워 진에 갔다. 들어가자마자 풍겨 오는 향긋한 꽃 냄새와 가득한 꽃은 이곳이 꽃집이라는 사실을 명확히 알려줬다. 진짜로 꽃을 판매하는 플라워 숍이기도 하다. 이런 곳에서 칵테일을 판다고? 과연 제대로 된 칵테일이 나올까?

플라워 진의 메뉴는 단출하다. 오직 ‘헨드릭스 진’만을 사용한 진 토닉, 진피즈 등을 판매한다. 플라워 숍이기에 다채로운 허브를 사용한, 풍미 깊은 칵테일이 대부분이다. 헨드릭스 진에 오이를 얇게 슬라이스 해 넣은 ‘헨드릭스 진 토닉’을 주문했다. 주문과 동시에 오이를 슬라이스하고 진과 잘 어울리는 작은 장미꽃까지 얹은 모양새가 로맨틱하다. 유리잔 한가득 나온 진 토닉은 청량하고 가볍고 시원했다. 여름에 누구나 마셔야 할, 그런 맛이었다. 은은한 진의 향과 사방에서 밀려오는 꽃향기에 정신까지 아찔했다. 칵테일에 ‘한 잔만’이라는 개념은 없으니 진피즈로, 진 마티니로 점점 알코올 도수를 높여 가며 실컷 마셨다.

여름에만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이 있고, 여름이라 더 좋은 맛이 있다. 맥주도 좋지만, 가벼운 칵테일도 더운 날씨에 나쁘지 않다. 어두컴컴한 지하 바에서 마시는 칵테일이나 야밤에 즐기는 칵테일도 운치 있지만, 하늘빛 좋은 여름날에는 낮에 마시는 칵테일이 색다른 즐거움을 준다.

백문영(라이프스타일 칼럼니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손가락 줌’과 이별하고 ‘멀티 카메라’ 200% 활용하기 2.

‘손가락 줌’과 이별하고 ‘멀티 카메라’ 200% 활용하기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3.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ESC] 방패연의 구조 4.

[ESC] 방패연의 구조

‘이탈리아판 미슐랭’이 뽑은 ‘국내 이탈리안 레스토랑 9’ 5.

‘이탈리아판 미슐랭’이 뽑은 ‘국내 이탈리안 레스토랑 9’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