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피곤한 편의점

등록 2017-03-02 08:27수정 2017-03-02 08:33

Let's ESC
슈크림빵. 비주얼헌트
슈크림빵. 비주얼헌트
‘어머, 웬일이야? 이렇게 맛있어도 돼?’

오래전 대만으로 출장을 갔을 때의 일입니다. 맥주를 사려고 숙소 앞 편의점에 들어갔는데 슈크림빵을 사면 음료를 끼워 준다더군요. 아침식사가 나오지 않는 숙소라, 그러잖아도 빠듯한 경비도 아낄 겸 냉큼 집어 들었습니다. 다음날 아침. 비닐 포장을 뜯어 주먹만한 슈크림빵을 한입 삼키고는 충격에 빠졌습니다. 대규모 공장에서 찍어낸 빵이니 맛은 당연히 ‘거기서 거기’일 거라 생각하고 별 기대를 안 했는데, 부드럽고 적당히 달짝지근한 이 슈크림이 예상을 깨고 너무 맛있는 겁니다. 한번만 먹고 말기엔 아쉬워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내리 사흘 동안 이 빵으로 아침을 해결했습니다.

그때만 해도 비교가 안 됐던 한국 편의점도 이젠 ‘장난’이 아닙니다. 각 편의점 브랜드에서 자체 생산하는 피비(PB) 제품이나 독점 수입하는 음료들을 보면 눈이 휘둥그레집니다. 삼각김밥만 해도, 더는 ‘고작 삼각김밥’이 아니죠. 참치마요와 불고기밖에 없던 시대를 넘어 이젠 비엔나소시지에 만두, 새우볶음밥 등 각양각색의 속재료가 고객을 기다립니다. (가끔, 해장을 출근길 삼각김밥으로 하는 전 요즘 교동짬뽕에 꽂혀 있습니다.)

낯선 곳, 특히 소도시나 시골에 갔을 때 이런 편의점을 발견하면 일단 안심이 됩니다. 그곳에선 언제든 제가 사는 대도시에서 먹고 마시고 누리는 ‘표준화된’ 음식과 물품, 서비스를 구할 수 있으니까요. 그런데 한번은 낭패를 본 적이 있습니다. 바닷가 마을에 여행을 갔을 땝니다. 밤늦게 편의점에 갔더니 문이 닫혀 있더군요. 이해가 잘 안 됐습니다. 밤이 됐다고 편의점이 문을 닫다니, 이게 무슨 편의점이야? 왔던 길을 되짚어 숙소로 돌아오는 길은 캄캄했습니다. 아차 싶었습니다. 밤이 되면 어두워지는 게 당연하고, 어두워지면 사람은 자야 한다는 생각이 그제야 들었습니다. 편리함 때문에, 더 많은 돈을 벌고 싶어서 또는 그 어떤 이유로든, 24시간 잠들지 못하는 세계가 ‘제정신’이긴 어렵지 않을까요.

삼각김밥을 사려고 편의점 문을 여는 일은 그래서 늘 주춤거려집니다. 통유리창 안쪽, 계산대 뒤 간이의자에 초로의 아주머니가 앉아 졸고 있는 게 보입니다. 간밤의 피로가 고스란히 배어 있는 얼굴, 제가 들어가면 문에 달린 종소리에 퍼뜩 깨 민망한 표정으로 “어서 오세요” 인사할 얼굴. 그 잠시의 휴식을 제가 깨는 게 맞는 걸까, 고민은 해결이 잘 안 될 것 같습니다.

조혜정 팀장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