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혼자만 잘 먹고 잘 쌀 수 있나요

등록 2016-08-04 11:37수정 2016-08-04 11:42

[Let's ESC]
도시텃밭. 정용일 기자
도시텃밭. 정용일 기자

이번주 공지영 작가의 ‘시인의 밥상’(▶단식, 지극한 혼자의 시간)을 읽다가, 매직아이 보이듯 눈에 쏙 들어온 문장이 있었습니다. “우리 텃밭에 오이 농사는 올해 조금 되었는데 호박은 또 실패야. (중략) 하기는 호박을 잘 따먹었던 해는 겨우내 강아지 똥을 모아 삭혔다가 그 구덩이에 호박을 심은 때이기는 했다.”

푸성귀를 직접 길러 먹어보고 싶은 ‘로망’이 있었습니다. 몇년 전, 상자텃밭이나마 가꿀 수 있는 곳으로 이사하면서 꿈을 이루나 했습니다. 꽃집에서 사온 흙을 스티로폼 상자에 붓고, 상추 모종과 열무 씨앗을 뿌린 뒤 물을 줄 때의 설렘을, 며칠 뒤 이파리가 커지고 싹이 틀 때의 희열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부푼 가슴에 구멍을 낸 건 ‘똥’이었습니다. 어느 저녁, 퇴근해 집에 갔는데 상자텃밭 근처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더군요. 대체 어디서 나는 냄새일까, 매의 눈으로 주변을 뒤졌습니다. 악, 이럴 수가. 여린 상추와 열무 싹이 파헤쳐진 자리에 누군가 싼 똥이 있는 겁니다. 처음엔 동네 꼬마들이 그랬나 싶었는데, 알고 보니 진범은 길고양이였습니다.

폭풍검색을 해보니, 고양이는 깔끔한 동물이라 흙이 있는 곳에 똥을 싸고 묻어두는 걸 좋아한다더군요. 또, 일단 한번 똥을 싼 곳은 자기 영역으로 여기고 계속 드나든다지 뭡니까. 말도 안 통하는 녀석을 붙잡아 따질 수도 없는데, 한번 제 상자텃밭과 똥을 튼 녀석은 계속해서 흔적을 남겨놓고 사라지곤 했습니다. 치워도 소용이 없으니 포기하는 지경에 이르렀고, 텃밭은 똥밭이 됐습니다. 채소들은 아예 자라지를 못하더군요. 똥도 썩어야 거름이 되는데 그러질 못했으니 당연한 일이었죠.

상자를 다 치워버리면서 ‘고양이 똥과의 전쟁’도 마침내 끝이 났습니다. 그리고 깨달았습니다, 생명이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을요. 식물이 자라는 것도, 동물이 배설하는 것도, 인간이(특히 저 같은 ‘자연 무지렁이’는) 어찌해볼 도리가 없다는 것을요. 그저, 내 몸 하나 잘 먹고 잘 싸보겠다고 함부로 덤빌 수 없는 영역이라는 걸 말입니다.

조혜정 팀장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