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고자가 어때서?

등록 2016-07-21 10:53수정 2016-07-21 15:13

Let's ESC
발랑리, 낙지리, 대박리, 망치리, 대가리, 고자리, 두목리, 방구동….

안 웃으려고 했습니다. 그저 마을 이름일 뿐인데, 웃겨봤자 뭐 그리 웃길까 싶었습니다. 하지만 여행기자 17년 내공을 자랑하는 이병학 선임기자가 지도 검색과 발품을 팔아 찾고, 만난 120여개의 재미난 마을 이름을 읽다가 빵! 터졌습니다. 그 동네 주민들의 생생한 육성이 담긴 기사를 읽을 땐 너무 웃어서 눈물까지 찔끔 났습니다. 대체 누가, 어쩌자고 사람들이 사는 마을에 이런 이름을 지었을까요?

이런 마을 이름들과 달리 제 이름은 무척 평범합니다. 어릴 땐 그래서 제 이름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송이, 서연, 소희 같은 예쁜 이름도 많은데 하필 혜정이라니. 어찌나 평범하고 무난한지, 드라마 속 인물 중에도 혜정이는 별로 없었죠. 제가 기억하는 건 딱 한번, <세상 끝까지>라는 드라마(1998년)에서 여주인공 친구로 나온 적이 있습니다. 김희선이 고아 출신 백혈병 환자로 나와, 류시원이 맡은 고아원 원장 아들과 ‘계층’을 뛰어넘는 사랑을 하다 죽는다는 줄거리였는데, 혜정이는 기껏해야 ‘여주 친구’만 할 수 있는 이름이구나 생각했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최근 시작한 <닥터스> 여주인공(박신혜) 이름이 혜정이라는 걸 알고는 엄청 반가웠어요. (엉성한 스토리와 뜬금없는 장면·대사로 시청자들의 손발을 오그라들게 만들겠다 작정한 게 아닌가 싶은 드라마라 아쉽긴 하지만요.)

제 이름을 받아들이게 된 건, ‘조혜정’이라는 이름에도 누군가의 소망과 축복이 담겨 있고 그 이름으로 살아온 제 역사와 관계, 평판이 차곡차곡 쌓여 있다는 사실을 깨달으면서입니다. 이번 ESC를 만들면서 ‘웃기는’ 마을 이름도 마찬가지란 걸 알게 됐습니다. 그 마을에 뿌리박고 사는 사람들의 사연이 녹아 있고, 그보다 더 오래된 자연의 역사가 켜켜이 숨어 있다는 걸 말입니다. ‘야동 보고 하고자리, 대가리 돌아 마시리’기사 속, 충북 영동군 고자리에 사시는 한 할머니 말씀엔 그 진리가 담겨 있습니다. “고자가 어때서, 화합만 잘되면 되지!”

조혜정 팀장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