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초절정 범생·진지대왕…안철수를 떠올리다

등록 2011-09-15 11:38수정 2011-09-16 11:51

만화가 차화섭과 함께 맛본 목멱산방의 육회비빔밥.
만화가 차화섭과 함께 맛본 목멱산방의 육회비빔밥.
[매거진 esc] 박미향 기자의 ‘나랑 밥 먹을래요?’
만화가 차화섭과 함께 맛본 목멱산방의 육회비빔밥
가까운 지인 ‘영희’ 언니는 평생 ‘철수’ 때문에 고생을 했다. 나이도 마흔을 훌쩍 넘기고, 애도 셋이나 뒀는데 아직까지 그는 “철수는 어디 있냐”는 소리를 듣고 있다. 영희 언니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철수 이야기다. 며칠 동안 철수가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다. 신문에 도배질한 그의 이름을 볼 때마다 작은 기억이 떠올랐다. 8년 전쯤 안철수 교수를 취재한 적이 있다. 당시 그는 기업의 시이오(CEO)였고 나는 사진기자였다. 처음 만난 그는 ‘초절정 범생’이었고 이마에는 ‘진지’라는 단어가 콕 박혀 있었다. 사진은 시종일관 재미없고 지루했다. 그의 내면에 숨겨진 다른 풍경을 담고 싶었다. 특단의 조처가 필요했다. “오빠~~, 한번 웃어봐, 제발~!” 순간 안 교수는 목젖을 내보이며 박장대소했다.
기자의 “오빠~~, 한번 웃어봐, 제발~!” 에 빵~터진 안철수. 박미향 기자 mh@hani.co.kr
기자의 “오빠~~, 한번 웃어봐, 제발~!” 에 빵~터진 안철수. 박미향 기자 mh@hani.co.kr

[박장대소 안철수 사진 더 보기]

자신에게 ‘오빠’라고 부른 기자는 처음이라면서. 사진엔 소년처럼 싱그럽게 웃는 안 교수가 담겼다. 그 사람의 품성은 순박한 그 웃음에 모두 담겨 있었다. 책상에 엎드리라는 둥 쪼그리고 앉으라는 둥 갖가지 어려운 포즈를 요구했지만 그는 성실하게 응해주었다. 과욕에 정신줄 놓은 기자가 안쓰러웠으리라.

음식 세계에 빠져들수록 만나는 이를 먹는 음식에 빗대 생각하는 버릇이 생겼다. 안 교수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건강요리 나물과 닮았다. 아무리 강한 향의 기름과 질 좋은 천일염, 간장으로 간을 해도 본성이 튀어나온다. 나물 특유의 질감과 식감, 혀를 감동시키는 맛은 담백하다. 가만히 있어도 겸양지덕이 뿜어 나오는 대인과 같다.

먹을거리가 풍족하지 않던 옛날, 식탁을 지켜준 음식이 나물이다. 선조들은 봄에 채취한 나물을 겨울까지 말려두었다 삶아 무쳐 먹었다. 나물은 보풀보풀 덩치가 커져 마치 쇠고기 같은 맛을 낸다. 나물이 밥과 합쳐지면 훌륭한 건강요리 강자가 된다. 바로 비빔밥이다. 만들기 쉬워 누구나 시작은 쉽지만 깊은 맛을 내기는 어려운 음식이다. 대표선수는 전주비빔밥이다. 요즘은 돌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예전에는 유기그릇을 썼다. 밥 지을 때 양지머리 육수를 넣었다고 한다.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을 지양하는 이라면 해주비빔밥, 통영비빔밥, 안동헛제삿밥, 평양비빔밥 등도 잊지 않는다.


박미향 기자의 ‘나랑 밥 먹을래요?’
박미향 기자의 ‘나랑 밥 먹을래요?’
몇 년 전 나주비빔밥도 복원되었다. 독특하게 ‘들’이 아니라 ‘장터’에서 생긴 비빔밥이다. 일제 강점기 교통의 요충지였던 나주에는 시간에 쫓기는 상인들이 많았다. 한 그릇에 여러 가지 반찬을 한꺼번에 넣고 뱅뱅 돌려나오는 밥 요리가 인기였다. 그래서 ‘뱅뱅돌이비빔밥’이라고도 불렀다. 고깃국물 위에 뜨는 기름과 고춧가루로 비빈 것이 특징. 화제의 인물 안철수 교수처럼 담백한 이와 추석 연휴 전날 남산자락 ‘목멱산방’에서 비빔밥을 먹었다. 만화가 차화섭씨다. 이름만 보면 영락없이 사내지만 만화 주인공처럼 미소가 재미있는 여성이다. 풀빵닷컴에 ‘더블피의 뚝딱쿠킹’을 연재하고 있다. 그곳의 육회비빔밥(사진)은 6가지 나물과 아기 주먹만한 육회가 올라온다. 한꺼번에 비벼도 각자의 색깔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슴슴하고 칼칼하고 톡톡 튀고 무던한 나물들의 주장이 한 그릇에 담겨 있다.

“맛있네요.” 차씨의 칭찬이 이어진다. 그의 혀는 건강식에 탁월한 감별능력이 있다. 만화에는 줄곧 텃밭을 가꾸며 제철채소와 건강식을 먹는 이의 요리법이 가득하다. 34살 아낙네는 네살 아래 남편과 함께 괴산으로 귀농할 예정이다. 헬렌 니어링처럼 소박한 밥상을 꾸릴 요량이다. 두 사람이 만난 사연도 재미있다. 2008년 6월10일 광화문 촛불집회 때 눈이 맞았다. 수많은 인파들 사이에서 이리저리 밀리다 보니 어깨도 안아주고, 놓치지 않기 위해 손도 잡다가 애정이 싹텄다. 사람과 음식, 음식과 사람은 나비효과처럼 지구에 한줄로 이어져 있다. (‘목멱산방’ 02-318-4790)

글·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