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나는낙태했다’ 해시태그 운동…경험 공유하며 연대

등록 2020-10-09 15:36수정 2020-10-10 02:32

‘낙태죄 유지’ 정부 입법예고안에
분노한 여성들 ‘#낙태죄폐지’ 운동 나서
임신중절 수술 경험 공유하며 연대
“내 몸의 결정권을 왜 국가가 가지나”
이길보라 영화감독 트위터 갈무리
이길보라 영화감독 트위터 갈무리

“저도 임신중절수술 경험자입니다. 원치 않는 임신과 그 이후에 경험한 일련의 일들에 대해 2016년 10월 칼럼으로 썼습니다. 2020년인데 아직도 ‘낙태죄’를 논합니까. 저는 이 땅의 몸의 경험들과 연대합니다.” (이길보라 영화감독)

지난 7일 영화감독 이길보라씨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같은 글을 올리며 ‘#나는낙태했다릴레이선언’ 해시태그 운동을 제안했다. ‘#낙태죄폐지’ 등 해시태그와 함께 자신의 낙태 경험담을 공유하는 운동이다. 이길씨는 9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낙태죄를 유지하는 정부의 형법·모자보건법 개정안은 여성의 몸과 경험에 대해 말하는 시도를 틀어막는 법이다. 저희 어머니와 할머니를 비롯해 수많은 이들이 낙태에 대해 얘기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운동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길씨는 원치 않은 임신 뒤 낙태 수술을 받게 된 경험을 담은 칼럼 ‘#나는_낙태했다’를 지난 2016년 10월 <한겨레>에 썼다.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에도 정부가 낙태죄를 유지하는 법안을 입법 예고하자 여성들을 중심으로 분노의 목소리가 쏟아지고 있다. 이들은 ‘#낙태죄폐지’ 해시태그와 함께 낙태 경험을 공유하면서 낙태죄 폐지 움직임에 연대하고 있다. 누리꾼 ㄱ씨는 정부의 입법예고안에 대해 “(임신 14주까지만 낙태를 허용하는) 조건이 존재하는 것 자체가 내 몸의 결정권을 내가 아닌 국가가 가지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자신의 낙태 경험을 공유한 누리꾼 ㄴ씨는 “(낙태가) 불법인 수술이기 때문에 나는 병원을 선택할 권한이 없었다. 임신 중단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방법이 제공돼야 한다”고 썼다.

지난 5일 국회 국민동의청원 누리집에 올라온 ‘낙태죄 전면 폐지와 여성의 재생산권 보장에 관한 청원’에는 이날 오후 4만1600여명이 동의했다. 청와대 국민청원 누리집에 올라온 ‘낙태죄 완전 폐지 촉구’ 청원글에도 3만6400여명이 동의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아전인수…“재판관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은데요” 1.

윤석열 아전인수…“재판관님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은데요”

윤석열 “계엄 때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 2.

윤석열 “계엄 때 군인들이 오히려 시민에 폭행 당해”

윤석열 쪽 증인 국정원 3차장 “선관위, 서버 점검 불응 안했다” [영상] 3.

윤석열 쪽 증인 국정원 3차장 “선관위, 서버 점검 불응 안했다” [영상]

대통령실서 단전·단수 쪽지 봤지만, 윤석열 지시 없었다는 이상민 4.

대통령실서 단전·단수 쪽지 봤지만, 윤석열 지시 없었다는 이상민

이충상 “대통령은 약자”…인권위 ‘방어권 보장’ 의결 황당 풍경 5.

이충상 “대통령은 약자”…인권위 ‘방어권 보장’ 의결 황당 풍경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