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교수 일동이 2일 '전공의들에게 행정명령 같은 법적인 처분이 이루어지는 것에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제공.
고려대 구로병원 교수 일부가 2일 사직서를 제출하는 등 전공의 고발 조처에 반발하는 대형병원 교수들의 집단행동이 본격화할 조짐이다. 전날 더불어민주당이 의사단체와 만난 데 이어, 이날은 정세균 국무총리가 전국 시도 의사회 회장단과 비공개 만찬을 하며 의견 조율에 나섰다.
이날 고려대 구로병원 내과 교수 53명이 전공의에 대한 정부 고발 조처 등에 반발하며 사직서를 제출했다. 서울아산병원 교수협의회도 이날 성명을 내어 “이날 이후로 필수 진료에만 임하겠다. 의대생과 젊은 의사들에게 실질적 피해가 발생하면 교수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이날 근무를 하지 않은 전공의는 85.4%, 전임의는 29.7%에 이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국회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대한의사협회와 논의하고 있는 부분의 결과를 기다린다”며 “정부도 (양쪽의) 합의가 되는 부분들을 존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와 의사단체의 ‘잠정합의’가 전공의의 반발로 무산된 뒤 의-정 협상에 진척이 없는 상황에서, 국회의 중재로 합의가 이뤄진다면 이를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핵심 쟁점은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정책의 ‘원점 재논의’ 명문화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문구는 대전협을 중심으로 의사단체가, ‘정책 철회를 포함한 재검토를 약속하고, 그 이행을 보증하라’는 차원에서 줄기차게 명시를 요구해온 내용이다. 이와 관련해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의대 정원 확대나 공공의대 신설은 국회에 구성될 특위에서 검토할 문제라, 국회와 의사단체가 체결하는 합의문에는 ‘원점 재검토’를 명문화할 수 있다”며 “다만 한방첩약 급여화 등은 행정상의 문제여서 앞으로 (의사단체가) 정부와 협의를 계속해야 할 내용”이라고 말했다. 의사단체들은 3일 오후 회의를 열어, 합의안에 담을 내용을 두고 내부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김민제 서영지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