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왼쪽)와 필리핀의 ‘위안부' 피해자 나르시사 클라베리아(가운데), 에스텔리타 디 할머니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만나 연대의 인사를 나누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 참석해 일본의 반인류적 죄악에 대한 진솔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필리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나르시사 클라베리아 할머니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 참석해 한국의 시민사회가 보여준 연대에 고맙다는 뜻을 전하고 있다. 김정효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려 참가자들이 일본의 반인류적 범죄에 대한 사과를 촉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려 참가자들이 일본의 반인류적 범죄에 대한 사과를 촉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살아남았으니 살고자 했다”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려 한 참가자가 손팻말을 든 채 피해 생존자들의 발언을 듣고 있다. 김정효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왼쪽 사진)와 필리핀의 ‘위안부' 피해자 나르시사 클라베리아 할머니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손에 핫팩을 쥐고 있다. 김정효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왼쪽)와 필리핀의 ‘위안부' 피해자 나르시사 클라베리아 할머니가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에서 만나 연대의 인사를 나누고 있다. 김정효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왼쪽부터)와 필리핀의 ‘위안부' 피해자 나르시사 클라베리아, 에스텔리타 디 할머니 등이 2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14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시위를 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김정효 기자
연재만리재사진첩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