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위, ‘이명박 당시 대통령이 최종 승인해 경찰이 강경대응 계획 수립, 사쪽과 공동작전을 벌였다’
경찰청에 사과, 손배가압류 취하, 재발방지책 마련을 권고, 정부도 사과하고 명예회복·치유에 나서라
범대위, 희생자들 살아돌아오지 못하는데… 책임자 반드시 처벌해야
경찰청에 사과, 손배가압류 취하, 재발방지책 마련을 권고, 정부도 사과하고 명예회복·치유에 나서라
범대위, 희생자들 살아돌아오지 못하는데… 책임자 반드시 처벌해야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와 쌍용차범대위 회원들이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 경찰청 앞에서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쌍용차 강제진압 사건' 보고서 발표 뒤 기자회견을 열어 진압 책임자 처벌과 정부의 사과 등을 촉구하고 있다. 손펼침막을 들고 있는 한상균 전 민주노총 위원장.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유남영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이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 경찰청 기자실에서 지난 2009년 경찰의 쌍용자동차 평택 공장 점거농성 강제진압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진상조사위는 경찰청에 공권력 과잉 행사에 대한 사과와 관련 손해배상청구소송 취하, 유사 사건 재발방지 및 인권 증진을 위한 제도·정책의 개선을 권고하고, 정부에 대하여 사과 및 명예회복과 치유방안을 촉구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로 2009년 경찰의 강제진압 당시 경기 평택 조립공장 옥상 위에 있었던 김선동씨가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 경찰청 앞에서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쌍용차 강제진압 사건' 보고서 발표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진압 책임자 처벌과 정부의 사과 등을 촉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와 쌍용차범대위 회원들이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 경찰청 출입구 앞에서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쌍용차 강제진압 사건' 보고서 발표 뒤 기자회견을 열려 하자 경찰이 막아서 충돌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와 쌍용차범대위 회원들이 28일 오전 서울 서대문 경찰청 앞에서 경찰청 인권침해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의 '쌍용차 강제진압 사건' 보고서 발표 뒤 기자회견을 열어 진압 책임자 처벌과 정부의 사과 등을 촉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