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철의 법조외전(21) ‘드루킹 수사’ 지켜보는 법조계 시각
언론보도 전까지 압수수색·계좌추적 손놓은 경찰
초동 수사 잘못으로 신뢰 훼손…중대 흠결 자초
이주민 서울경찰청장 경솔한 발언 의구심 더해
“이젠 경찰이나 검찰 누가 수사해도 불신받는 상황”
야당과 무관하게 ‘특검수사 불가피’ 주장 힘 얻어
언론보도 전까지 압수수색·계좌추적 손놓은 경찰
초동 수사 잘못으로 신뢰 훼손…중대 흠결 자초
이주민 서울경찰청장 경솔한 발언 의구심 더해
“이젠 경찰이나 검찰 누가 수사해도 불신받는 상황”
야당과 무관하게 ‘특검수사 불가피’ 주장 힘 얻어
'드루킹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초동 수사 실패와 축소 수사 의혹을 사면서 곤혹스런 처지에 놓여 있다. 드루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지방경찰청으로 직원들이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이런 사건이 수사 능력을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케이스다. 살아 있는 권력과 관련된 사건이라 ‘결과’보다 ‘과정’이 훨씬 중요하고, 과정이 의심받게 되면 결론은 말하나 마나다. 과거에 검찰이 ‘정치검찰’이라고 욕 들어 먹은 사건은 백이면 백 이런 경우다. 그런 점에서 경찰이 시험대에 오른 거다. 근데 사건 경험이 짧다 보니 과거 검찰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 초동 수사부터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수사 자체가 불신받는 상황을 자초했다.” (검찰 간부 ㄱ)
“이제 와서 압수수색하고 계좌추적을 해도 이미 늦었다. 그래서 초동 수사가 중요한 건데. 자금 흐름을 볼 수 있는 계좌야 전산에 남아 있겠지만, 드루킹 일당이 달았다는 댓글 기록, 블로그의 글, 김 의원 등과의 대화나 통화내역 등은 그동안 많은 부분 삭제됐거나 지금 이 순간에도 소멸되고 있을 것이다. 언론 보도를 보고 하는 말이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경찰수사가 너무 허술했다.” (한 부장검사)
위부터 드루킹이 페이스북과 블로그에 올린 글. ‘주주인’(경공모가 자체 개발한 채팅앱) 갈무리.
“(김 의원과 드루킹 간에) 1 대 1 대화창이 두 개인데 하나는 비밀방, 하나는 일반방. 비밀방에 있는 것은 거의 하나도 안 읽은 거다. 일반방에서는 사진 같은 거 그런 걸 보낸 거고. 2017년 6월3일 URL(인터넷 주소)를 보낸 게 하나 확인됐다. 비밀방을 통해 3190개를 보냈는데 (김 의원이) 하나도 안 읽은 거로 나온다. 답도 없었고.”
“(사무실과 주거지 등) 압수수색 현장에서 휴대전화 170여개를 확보했는데, 133개는 분석 안 하고 검찰에 송치하면서 보냈다. 너무 많이 분석할 수는 없고, 중요해 보이는 것만 우리가 (분석했다).”
“수사는 생물이라고 하지 않나. 하다 보면 어디서 뭐가 튀어나올지 모른다는 거지. 그러니 특정 단계에서 뭐가 있다 없다, 어떤 게 맞다 틀리다, 이런 말은 하지 않는 것이 수사의 기본이다. 브리핑을 하더라도 팩트만 드라이하게. 그런데 이 청장이 저렇게 말을 해버리니 대번에 ‘아, 경찰이 수사 의지가 없는 모양이구나’, ‘어떻게든 김경수 의원 하고 연결되는 걸 막으려고 하는구나’ 이런 의구심을 자초하는 것이다. 수사에 대한 신뢰가 한번 흔들려 버리면 그 다음에는 뭘 내놔도 (국민이) 잘 안 믿는 상황이 된다.” (검사장 출신 변호사)
“‘원세훈 국정원’의 댓글 공작과 이번 사건은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어 보인다. 그런데 경찰이 초동 수사를 잘못 풀어가면서 상황이 꼬여버렸고, 과거 댓글 사건과 이번 댓글을 같은 것인 양 연결시키는 야당의 상징 조작이 먹히면서 별게 아닌 듯하던 사건이 스캔들처럼 돼가고 있다.”(사정기관장을 지낸 변호사)
“경찰이 초장에 사건을 너무 이상하게 풀어서 이젠 경찰이나 검찰이나 누가 수사를 해도 국민이 (결과를) 믿어줄까 싶다. 이런 상황이면 특검을 도입하는 것도 방법인데….” (검찰 간부 ㄴ)
“이미 많은 증거가 소멸됐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경찰과 검찰이 서로를 탓하기 보다는 남아 있는 증거, 이미 확보된 증거를 가지고 수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는데, 사실 이런 사건이야말로 특검을 하는 것이 맞다. 야당의 주장 여부와 상관 없이 살아 있는 권력과 관련된 사건이니 특검이 타당하다는 얘기다. 초기 수사에 이미 중대한 흠결이 생겨 버렸으니 이젠 특검의 입으로 말해야만 수사 결과에 대한 신뢰가 담보될 수 있는 상황이 됐다.”(검찰 고위직 출신 변호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