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나는 역사다] 임금 떼일라 ‘17세기 조선’ 기록한 네덜란드인

등록 2017-08-15 18:31수정 2017-08-15 19:31

헨드릭 하멜 (1630~1692)
1653년 8월16일 제주도에 떠밀려 오다

네덜란드 호린험에 있는 하멜 동상. 위키피디아
네덜란드 호린험에 있는 하멜 동상. 위키피디아
헨드릭 하멜이 제주도에 표착한 날이 1653년 8월16일. 고향 네덜란드에 곧 돌아갈 줄 알았는데, 일이 꼬였다. 조선을 둘러싼 복잡한 국제 정세 때문. 한편으로 청나라의 눈치를 살피며 다른 한편 청나라 침공(북벌)을 준비하던 참. 하멜 일행은 한양으로 강진으로 끌려다니며 처분만 기다렸지만, 조선 정부는 이들을 내보내주지 않았다. 답답한 노릇이었다.(하멜의 기록을 보면 수백년 뒤 카프카의 소설을 읽는 느낌.)

하멜이 본 조선은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다. 조선의 관료주의에는 넌더리를 냈다. 민족성에 대해서도 박한 평가. 반면 가까워진 사람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제주 목사 이원진은 “교양있고… 기독교인이 무색할 정도로 친절”하다고 평가. 요즘 식으로 ‘한국 사회는 답답한데 개개인은 알고 보면 좋은 사람’이라고 읽는다면, 지나치게 성근 요약일까.

일러스트 오금택
일러스트 오금택
1666년 9월, 13년 만에 조선을 탈출. 돌아가 <하멜표류기>를 남긴다. 밀린 임금을 떼이지 않기 위해 회사에 제출한 보고서였다나. 책도 사람도 네덜란드에서는 한동안 잊혔다가 요즘 다시 기억된단다. 2002년 월드컵 때 네덜란드 사람 거스 히딩크가 한국 대표팀을 맡자 덩달아 주목받았다고. 기이한 인연이다.

김태권 만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쪽, 헌법재판관 3명 회피 촉구 의견서 냈다 1.

윤석열 쪽, 헌법재판관 3명 회피 촉구 의견서 냈다

응원봉 불빛 8차선 350m 가득…“윤석열을 파면하라” [포토] 2.

응원봉 불빛 8차선 350m 가득…“윤석열을 파면하라” [포토]

“윤석열, 박근혜보다 죄 큰데 탄핵 더 불안…” 깃발의 목소리 [영상] 3.

“윤석열, 박근혜보다 죄 큰데 탄핵 더 불안…” 깃발의 목소리 [영상]

검찰, ‘윤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반려 4.

검찰, ‘윤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반려

[단독] 휴일 회사 기숙사에서 휴대전화 줍다 추락…법원 “산재 인정” 5.

[단독] 휴일 회사 기숙사에서 휴대전화 줍다 추락…법원 “산재 인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