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뉴스룸 토크] ‘삼성바이오매직스’ 1

등록 2017-02-15 19:10수정 2017-02-15 22:21

박근혜(가운데) 대통령이 2015년 12월21일 오전 인천 송도에서 열린 삼성바이오로직스 제3공장 기공식에 참석해 발파 버튼을 누르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박 대통령,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  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가운데) 대통령이 2015년 12월21일 오전 인천 송도에서 열린 삼성바이오로직스 제3공장 기공식에 참석해 발파 버튼을 누르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박 대통령,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 청와대사진기자단

제일모직 주식은 고평가됐다. 2015년 7월 삼성물산과의 합병 때다. 고평가 근거 중 하나는 제일모직 자회사였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미래 성장가치. <한겨레>는 지난 14일치에서 그 가치가 회계상 부풀려졌다는 의혹 보도했다. 합병 스캔들 뒤 숨은 이야기. 류이근 기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어떤 회사?

“의약품 생산업체. 시가총액 10조원대로 국내 30위권.”

-바이오젠과 삼성바이오에피스도 등장.

“바이오젠은 나스닥 상장된 글로벌 제약업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젠 손잡고 투자해 의약품 개발업체인 삼성바이오에피스 설립.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분 91.2% 소유한 바이오에피스 지분평가 바뀌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 가치 달라져요.”

-많이 어려운 이야기.

“그게 함정. 이건 꾼들의 이야기. 회계전문가 아니면 쉽지 않아요. 회계전문가도 이런 회계처리 경험 있는 회계사 아니면 잘 몰라요.”

-모르고 넘어가면 안 되는지.

“늘 입에 맞는 음식만 먹으면 안 되죠. 시사 문제도 그래요. 어려운 이슈, 전문가가 장난칠 수 있어요. 그게 범죄 되기도 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지난해 11월 상장. 그게 문제?

“당시엔 관심 못 끌었어요.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찬성에 청와대 개입 있었다는 이슈에 묻혀. 이제 문제점 나오지만 빛 발하지 못해요. 어려우니까.(웃음)”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비율 1:0.35. 제일모직의 그 1을 만든….

“여러 근거 중 하나가 제일모직 자회사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래에 잘나간다는 것. 그 핵심에 삼성바이오에피스 있고. 그걸 2016년 11월 사후 입증한 결과가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 여기 어떤 문제 있냐면….” <내일 계속>

고경태 신문부문장 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1.

체감 -21도 ‘코끝 매운’ 입춘 한파 온다…6일 다다를수록 추워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2.

도올 “윤석열 계엄에 감사하다” 말한 까닭은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3.

휴일 없이 하루 15시간씩, 내 살을 뜯어먹으며 일했다 [.txt]

전광훈 “별 XX 다 떨어도 난 절대 체포 안 당해” 4.

전광훈 “별 XX 다 떨어도 난 절대 체포 안 당해”

[단독] 김용현 “지구 계엄사 회의” 지시…“경고용” 윤 주장과 배치 5.

[단독] 김용현 “지구 계엄사 회의” 지시…“경고용” 윤 주장과 배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