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나는 역사다] 12월22일의 사람, 루트비히 판 베토벤(1770~1827)

등록 2016-12-21 19:07수정 2016-12-21 19:23

빈에서 경이로운 음악회를 열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20대 후반부터 귀가 안 들리기 시작. 40대 이후로는 거의 듣지 못했단다.(납중독 때문이라는 것이 오늘날의 정설.) 대부분의 걸작을 청력을 잃은 상태에서 남긴 셈.

서양음악의 역사에 가장 중요한 날 하루를 고르라면, 1808년 12월22일이 아닐까. 뻑적지근한 음악회를 베토벤은 이날 빈에서 열었다. 초연된 작품만도 <교향곡 5번>과 <6번>, <피아노협주곡 4번> 그리고 <합창환상곡>. 숨이 막힐 지경이다. 듣다가 지치지 않았을까.

<합창환상곡>의 악상과 구성은 훗날 <교향곡 9번> ‘합창’으로 발전. <교향곡 5번>은 ‘운명’, <6번>은 ‘전원’이란 별명으로 유명하다. 특히 <5번>은 서양 고전음악 가운데 가장 유명한 작품. 그래서인지 후대의 작곡가도 <교향곡 5번>을 쓸 때면 특별히 공을 들이는 전통이 생겼다. 말러, 브루크너, 오네게르, 쇼스타코비치, 프로코피예프가 지은 <교향곡 5번>은 이들의 대표작이기도 하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그런데 이날, ‘전원’이 음악회 1부에, ‘운명’이 2부에 연주되었단다. 초연 순서만 보면 ‘전원’이 <5번>, ‘운명’이 <6번>이 될 뻔도 했다. 만일 그랬다면 음악의 역사는 사소하나마 달라졌을까? 재미삼아 상상해본다.

김태권 만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 33살 김녹완…신상공개 2.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 33살 김녹완…신상공개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3.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1m 도검으로 이웃 살해한 30대 남성 무기징역 4.

1m 도검으로 이웃 살해한 30대 남성 무기징역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5.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