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나는 역사다] 12월21일의 사람, 라듐 발견한 마리 스크워도프스카 퀴리(1867~1934)

등록 2016-12-20 19:07수정 2016-12-20 19:10

이민자와 여성으로 고군분투, 노벨상 두 번 받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20세기 초, 새로운 물질 라듐에 세계가 주목했다. 1933년 한국에서도 김자혜라는 작가가 <라듸움>이라는 과학소설을 남길 정도. 마리 스크워도프스카 퀴리가 라듐을 발견한 날이 1898년 12월21일. 마리는 노벨상을 두 번 받았다. 1903년에는 물리학, 1911년에는 화학. 남편 피에르 퀴리도 위대한 과학자. 딸과 사위도 1935년 노벨화학상.

어린 나는 어린 마리의 이야기를 국어 교과서에서 읽었다. 러시아가 폴란드를 강점하던 시절, 러시아 장학사가 와서 우등생 마리에게 러시아의 역사를 묻는다. 폴란드 사람 마리는 또박또박 대답했지만 나라 잃은 설움에 속은 타들어갔다는 내용. 실제로도 그랬나 보다. 마리의 아버지는 학교 선생님이었는데, 폴란드 민족주의자라는 이유로 러시아 당국한테 쫓겨났다. 이 일로 가세가 기울어 마리는 학비를 대느라 고생.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프랑스에 와서는 차별에 맞섰다. 마리를 기리는 여러 장소 가운데 파리 ‘이민역사 박물관’이 눈에 띈다. 이민자로서, 또 여성으로서 고군분투하던 마리. 여성 최초로 노벨상, 여성 최초로 소르본 교수, 여성 최초로 판테온에 이장 ― 마리의 영광은 거꾸로 당시 여성이 겪던 온갖 차별을 보여준다.

김태권 만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2.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은 33살 김녹완…신상공개 3.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은 33살 김녹완…신상공개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4.

송대관의 삶엔 ‘한 구절 한 고비 꺾어 넘을 때’마다 사연이

1m 도검으로 이웃 살해한 30대 남성 무기징역 5.

1m 도검으로 이웃 살해한 30대 남성 무기징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