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나는 역사다] 12월16일의 사람, 자백 같은 기자회견 연 황우석(1953~ )

등록 2016-12-15 20:06수정 2016-12-15 22:32

아직도 끝나지 않은 ‘줄기세포 게이트’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1999년, 젖소 복제에 성공했다고 언론에 발표. 그러나 거짓. 정말 성공한 때는 2003년. 2004년부터는 인간 체세포 복제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논문을 게재. 역시 거짓.

2005년 11월에야 <피디수첩>을 통해 의혹이 공론화. 처음에 여론은 황박사 편. “진실보다 국익이 먼저”라는 말까지 나올 지경. 그러나 의혹은 커지기만 했다. “줄기세포가 열한 개면 어떻고 한 개면 어떤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또 어떤가.” 자백이나 다름없던 기자회견이 열린 날이 12월16일. 황은 몰락했다, 일단은.

청산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황을 편들던 이들 대부분이, 잠시 주춤하고는 다시 잘나갔다. 박근혜도 그 가운데 한 명. 김병준 전 국무총리 내정자는 한때 황의 후원자. 백남기 농민의 사망 원인을 엉뚱하게 적어 물의를 빚은 백선하 교수는 황 박사 연구진 출신.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김태권 만들고 이은경 찍다

박근혜와 차병원이 엮인 지금의 ‘줄기세포 게이트’에도 황이 개입한 정황. 황과 최순실은 알고 지낸 지 오래(류영준 교수의 주장). 올해 4월, 청와대 지시로 열린 좌담회에 황이 전문가로 출석. 5월에는 줄기세포 규제를 풀라고 대통령이 지시. 11년이 지나서도 의혹은 늘어간다. 대체 무슨 일이 있었을까?

김태권 만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 쪽, 헌법재판관 3명 회피 촉구 의견서 냈다 1.

윤석열 쪽, 헌법재판관 3명 회피 촉구 의견서 냈다

“박근혜보다 죄 큰데 탄핵될지 더 불안…” 깃발의 목소리 [영상] 2.

“박근혜보다 죄 큰데 탄핵될지 더 불안…” 깃발의 목소리 [영상]

봄 같은 주말에도 10만 깃발…“소중한 사람들 지키려 나왔어요” 3.

봄 같은 주말에도 10만 깃발…“소중한 사람들 지키려 나왔어요”

응원봉 불빛 8차선 350m 가득…“윤석열을 파면하라” [포토] 4.

응원봉 불빛 8차선 350m 가득…“윤석열을 파면하라” [포토]

검찰, ‘윤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반려 5.

검찰, ‘윤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반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