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나는 역사다] 9월23일의 사람, 지학순 주교(1921~1993)

등록 2016-09-22 18:59수정 2016-09-22 21:31

그의 체포,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시작
일러스트 오금택
일러스트 오금택
지학순은 강원도 원주의 주교였다. 지역을 위한 사회사업에 열심이었다. 그러다 보니 부패한 토호 세력과 마찰을 빚었고, 박정희 정권과도 부딪쳤다. 1974년 7월6일 바티칸에서 돌아온 지 주교를 중앙정보부 요원들이 김포공항까지 쫓아와 잡아갔다. 반정부인사였던 김지하 시인을 도왔다는 혐의였다. 8월12일부터 지 주교는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었다.

그러자 가톨릭 사제들이 집단행동에 나섰다. 9월23일 원주에 사제 300여명이 모였다. <평화신문>에 따르면, 당시 “한국 교회에서 사제들 3분의 1 이상이 대거 참여한 셈”이었단다.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시작이었다. 이튿날 사제단 결성을 결의하고 26일에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활동은 계속되었다. 정권도 더는 버티지 못하고 1975년 2월17일에 지 주교를 석방한다.

1974년 지학순 주교가 서울 명동성당에서 유신정권을 비판하는 양심선언을 하고 있다. 지 주교의 양심선언은 명동성당이 민주화운동의 성소로 탈바꿈하는 전기가 됐다.  <한겨레> 자료사진
1974년 지학순 주교가 서울 명동성당에서 유신정권을 비판하는 양심선언을 하고 있다. 지 주교의 양심선언은 명동성당이 민주화운동의 성소로 탈바꿈하는 전기가 됐다. <한겨레> 자료사진
그다음은? 1980년대 이후로는 지 주교의 사회적 발언이 줄어든 것 같아 아쉽다는 의견도 있지만, 보기 나름일 것이다. 1990년대를 지나며 김지하 시인은 전향을 선언했는데 변절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많다. 박정희 정권은 1970년대를 못 넘겼다. 그렇게 무너질 것을 왜 그리 모질게 굴었을까. 그리고 정의구현사제단은 여전히 활발히 활동 중이다.

글 김태권 만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1.

“식사도 못 하신다”…인생의 친구 송대관 잃은 태진아

“작은 윤석열까지 몰아내자” 대학생들 극우 비판 시국선언 2.

“작은 윤석열까지 몰아내자” 대학생들 극우 비판 시국선언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3.

서부지법 이어 ‘헌재 난동’ 모의…경찰, 디시 ‘미정갤’ 수사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은 33살 김녹완…신상공개 4.

234명 성착취 텔레그램방 총책은 33살 김녹완…신상공개

누나 생일엔 일어나길 바랐지만…6명에 생명 주고 간 방사선사 5.

누나 생일엔 일어나길 바랐지만…6명에 생명 주고 간 방사선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