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아동학대 1년새 1700건 늘었다

등록 2016-03-16 09:49수정 2016-03-17 11:20

아동학대.공포.우울.좌절.폭력/게티이미지뱅크
아동학대.공포.우울.좌절.폭력/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아동학대로 판정받은 사례가 한해 전보다 17%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2015 전국아동학대 현황’(속보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아동학대 신고 건수는 1만9209건이었으며, 이 중 1만1709건이 아동학대 사례로 판정받았다. 이는 2014년 1만27건에 견줘 1682건(16.8%)이 늘어난 규모다. 신고 건수는 전년보다 8.0% 늘었는데, 아동학대 증가율은 신고 건수 증가율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아동학대 판정건수는 2010년 5657건, 2011년 6058건, 2012년 6403건, 2013년 6796건 등으로 점차 늘어왔으며, 2014년 아동학대범죄 처벌 특별법 시행 이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학대 유형별로는 성 학대가 전년 308건에서 지난해 429건으로 39.3%가 증가했다. 신체 학대는 1453건에서 1884건으로 29.7% 늘었으며, 정서 학대는 1582건에서 2045건으로 29.3% 증가했다. 방임은 1870건에서 2009건으로 7.4%, 두 가지 이상의 학대 행위가 함께 일어난 중복 학대는 4814건에서 5342건으로 11% 늘었다.

지난해 아동학대의 가해자 5명 중 4명은 부모였다. 구체적으로 가해자의 8841명(75.5%)은 친부모였고, 계부모는 474명(4.0%), 양부모는 32명(0.3%)로, 부모가 가해자인 경우가 전체의 79.8%(9347명)에 이른다.

아동학대 발생 장소도 가정이 전체의 80.1%(9378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 어린이집 혹은 유치원에서 일어난 아동학대가 전년보다 61.4%나 늘었다.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아동학대는 전년 300건보다 43.7% 늘어난 431건이었으며, 유치원에서 발생한 경우는 전년 96건의 2.2배인 208건이었다.

황보연 기자 whyn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단독] 휴일 회사 기숙사에서 휴대전화 줍다 추락…법원 “산재 인정” 1.

[단독] 휴일 회사 기숙사에서 휴대전화 줍다 추락…법원 “산재 인정”

[속보]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옥상서 화재…“진압 중” 2.

[속보]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옥상서 화재…“진압 중”

검찰, ‘윤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반려 3.

검찰, ‘윤 체포 저지’ 김성훈·이광우 구속영장 또 반려

전광훈 광화문파 vs 손현보 여의도파…음모론 부메랑 맞은 극우 4.

전광훈 광화문파 vs 손현보 여의도파…음모론 부메랑 맞은 극우

[단독] 김건희 ‘논문 표절 조사결과’ 수령…2월 12일까지 이의신청 5.

[단독] 김건희 ‘논문 표절 조사결과’ 수령…2월 12일까지 이의신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