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관봉 형태의 돈 5000만원을 건넨 류충렬 전 청와대 공직복무관리관이 지난 9일 새벽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조사를 받은 뒤 귀가하고 있다. 뉴스1
검찰 “턱도 없는 얘기” 출처찾기 주력…진경락 지명수배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재수사하고 있는 검찰이 12일, 출석 요구에 여러 차례 불응하고 잠적한 진경락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의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검거에 나섰다. 이날 진 전 과장의 주거지로 추정되는 곳 등에 수사관들을 보냈다가 1차 검거 시도에 실패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은 진 전 과장을 곧바로 지명수배했다.
검찰은 그동안 진 전 과장을 이 사건의 ‘키맨’으로 보고 여러 차례 출석을 요구했지만, 그는 지난 6일 관련 의혹을 부인하는 진술서를 검찰에 제출한 뒤 잠적한 상태다. 이에 검찰은 지원관실 특수활동비 280만원을 이영호 전 비서관 등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에 매달 건넸다는 혐의(업무상 횡령)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강제수사에 나선 것이다.
이에 앞서 지난 11일 검찰에 자진 출석해 조사받은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은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한 돈 5000만원의 출처를 “지난 1월 숨진 장인에게 빌린 돈”이라고 진술한 것으로 밝혀졌다.
류 전 관리관은 애초 돈의 출처를 ‘지인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은 돈’이라고 주장했다가,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관봉’ 형태였음이 드러나자 “지인에게 빌린 돈”이라고 말을 바꿨지만, 그 지인이 누구인지는 진술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검찰은 류 전 관리관의 진술을 “턱도 없는 얘기”라고 일축하고, 5천만원 관봉의 출처를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 류 전 관리관이 지난해 4월13일 장 전 주무관에게 5천만원을 전달할 당시 “장석명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마련한 돈”이라고 했고, 그 뒤 장 전 주무관과의 통화에서도 장 비서관의 실명을 여러 차례 거론하며 “어차피 돈은 청와대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어, 조사가 불가능한 ‘망자’에게 책임을 떠넘기려고 급조해낸 거짓 진술이라고 보는 것이다.
지원관실 설치와 운영을 주도한 이영호 전 비서관도 “지원관실 설치를 주장한 사람은 숨진 김영철 전 국무총리실 사무차장”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박태우 기자 eho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