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
노 대통령 축하메시지 “지역협력 제도화 필요”
노 대통령 축하메시지 “지역협력 제도화 필요”
북한 핵실험 이후 동아시아의 새로운 평화실험으로서 한국의 오산-평택, 오키나와, 괌 등 지방·도시 사이 반전·반핵 연대를 통해 동북아 비핵지대 건설의 토대를 만들자는 주장이 나왔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국의 군사 전환에 따른 국외주둔 미군기지 재편은 동북아 도시들에 기지이전을 둘러싼 ‘평화’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이런 공통 기반에 바탕해 연대와 협력 틀을 찾아나가자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24일 한겨레통일문화재단과 부산시 공동 주최로 부산 동백섬 누리마루에서 개막된 제2회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에서 나왔다. 이번 심포지엄의 주제는 ‘북한 핵실험 이후 동아시아의 평화실험-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도시의 역할’이었다.
구갑우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기존의 국가 수준의 다자간 안보협력기구 구성과는 다른 경로로서 시민사회의 평화지향적 네크워크와 연대를 제시했다. 구 교수는 이는 “한반도에서 전쟁을 억지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이라며 “주한미군 기지가 자리잡은 오키나와와 제주도, 평택 등 동북아 도시의 반전반핵 도시연합을 설계해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스즈키 유지 일본 호세이대 교수도 ‘지방주도의 가능성-아래로부터의 평화에 대한 모색’이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지방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도시 사이 자매결연 등 지역 차원의 협력이 분쟁해결의 새로운 가능성을 낳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부산 아태경제협력체(아펙)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작돼 올해 두번째 열린 한겨레-부산 국제심포지엄은 도시간 연대와 지역협력을 통한 평화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축하메시지를 보내 “동아시아 전체의 지역협력 체제를 한층 더 제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역내 도시 사이 협력과 연대가 동아시아 공동체를 앞당기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격려했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환영사에서 “이번 국제심포지엄은 동아시아 지역간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상호 발전적인 관계로 정립시켜 나갈 것인지, 부산의 역할과 소명은 무엇인지를 모색해 보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포지엄 이틀째인 25일엔 철의 실크로드를 둘러싼 아시아 도시 관계의 변화와 경제 공동체 건설 가능성, 영화를 통한 지역문화 교류의 연대 가능성을 점검하며, ‘북핵 실험 이후 한반도 정세 및 동아시아 평화’를 주제로 6자 회담 수석대표인 천영우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미·일·러 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원탁토론이 열린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