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중수부 ‘한겨레’ 보도 사실 인정
‘차떼기 돈’ 출처 달라 대선자금 수사 부실 논란
‘차떼기 돈’ 출처 달라 대선자금 수사 부실 논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18일 “2002년 대선 때 글로비스의 금고에서 70여억원이 빠져 나가 정치권에 전달됐다”는 현대차 비자금 사건 제보자의 증언(〈한겨레〉 18일치 1면)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제보자가 말한 70여억원은 현대차그룹이 한나라당에 전달했던 100억원에 포함됐다”며 “하지만 정치자금법의 공소시효가 3년이어서 이 법으로는 처벌이 불가능해 정 회장을 기소할 때 업무상 횡령 혐의를 추가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2002년 대선 불법정치자금 수사가 부실했던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당시 검찰은 김동진 현대차 부회장이 2002년 11월 이아무개 현대캐피탈 사장과 최아무개 현대차 부사장한테 지시해 서울 여의도 현대캐피탈 지하 4층 창고에서 50억원씩 두 차례 걸쳐 빼내 한나라당쪽에 ‘차떼기’로 넘겼다고 밝혔다. 돈의 출처에 대해서는 “80억원은 숨진 정주영 명예회장의 돈이고 20억원은 현대캐피탈 비자금”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수사팀 관계자는 “김동진 부회장이 계속 ‘80억원은 숨진 정 회장의 돈이고 20억원만 현대캐피탈 비자금’이라고 진술했다”며 “그때도 믿기지가 않아서 ‘80억원이 어디에 있었느냐’고 물었더니, 정 회장 집 창고에 쌓여있었다고 대답해 직접 현장에 가보기도 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당시 수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대기업들의 협조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해 자금의 출처는 문제삼지 않았다고 밝혔다. 대선자금 수사의 표적이 자금을 건넨 대기업이 아니라 돈을 받은 정치권이었기 때문에 자금원을 밝히는데 수사력을 모을 겨를이 없었다는 설명이다.
한나라당에 건넨 대선자금의 일부가 글로비스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당시 현대차가 실제로 정치권에 건넨 불법자금이 106억6천만원(한나라당 100억원, 노무현 캠프 6억6천만원)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 정 회장의 구속영장에는 글로비스의 금고에서 2002년 한해 동안만 246억원이 빠져 나간 것으로 돼 있으나, 이 돈이 어디에 쓰였는지는 조사되지 않았다.
황상철 기자 roseb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