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무는 ‘유행의 고향’ 창신동 리포트]
1970년대 노동집약형 수출산업의 한 축이었으며, 1990년대 들어 동대문 의류상가의 번영과 함께 ‘르네상스’를 맞았던 대표적인 가내 봉제공장 밀집지역인 창신동과 숭인동이 기로에 서 있다. 디자인에서 원단구입·제조·판매가 원스톱으로 이뤄지고, 기동력 있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로 씽씽 미싱을 돌려대던 ‘좋았던 시절’은 점점 세계화의 뒤안으로 밀려나고 있다. 값싼 중국 의류들이 밀려들면서 하나 둘 씩 ‘공장의 불빛’이 꺼져가는 ‘창신동’의 오늘과 내일을 3차례에 나눠 싣는다.
▲ ‘창신동의 하루’를 담은 2분30분 짜리 동영상입니다.
① 세계화·개발 기로에 서다 블라우스 1장에 2천원, 하청 단가 90년대말과 같아
미싱사들 ‘객공’으로 전락, 비성수기땐 일감없어 수입 0원
70%가 40~50대 고령화 심각, 개발바람에 봉제업 해체 가속화 경상도 산골에서 스무살에 혼자 서울로 올라와 창신동에서 20여년째 미싱을 밟고 있는 노정섭(45)씨는 6년전부터 ‘객공’으로 일하고 있다. ‘객공’이란 고용 기간을 계약하지 않고 일감이 있으면 일하고 일감이 떨어지면 자동 해고되는 비정규직의 극단적 형태다. 그는 대뜸 입고 있는 바지를 흔들어 보였다. “이게 7천원이야. 한국산이라고 쓰여 있지만 딱 보면 알아. 중국산이지. 싼 물건에 당할 수가 있나. 길거리에서 파는 거 90%가 원단에서 바느질까지 모두 중국산이야. 일요일 오전에 평화시장 가 봤나? 거기 파는 옷들 바지고 웃도리고 3천원짜리가 수두룩해. 그런 가격을 어떻게 한국에서 만들어?”
창신동 사람들 중엔 최근 객공으로 신분이 떨어진 사람이 늘어났다. 주문이 없을 때 월급제 직원을 두면 고스란히 사업자의 빚으로 남기 때문에 정규 직원이 아닌 객공을 채용하게 된 것이다. 객공의 수입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성수기인 3~5월, 9~11월엔 하루종일 일해 월 200만~300만원씩 벌지만 비성수기때는 말 그대로 ‘0원’이 된다. 노씨는 “비성수기때에는 성수기에 필요한 옷을 미리 당겨 만들어놓기도 했는데 4~5년 전부터는 그렇지 않다”며 “예전의 성수기가 비성수기가 됐고, 예전의 비성수기엔 아예 일이 없다”고 말했다. 일해도 수입은 갈수록 줄어든다. 납품가격이 구제금융기 이후로 동결됐기 때문이다. 남편과 함께 봉제 하청을 받아 일하는 지아무개(54)씨는 “디자인에 따라 다르지만 티셔츠는 1벌에 500~600원, 블라우스는 2천~2500원, 바지는 1500~2천원을 받고 바느질을 한다”고 말했다. 이는 90년대 말과 같은 단가다. 지씨는 “하루 종일 3사람이 매달려 500원짜리 티셔츠 100장을 만들면 오히려 밑지는 장사”라고 말했다. <한겨레>가 지난달 3~7일 창신동 봉제공장 노동자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한달 임금이 평균 134만원으로 조사됐다. 2006년 2/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주 평균소득 225만8천원의 59%에 불과했다. 99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창신동 공장 129곳을 조사한 것과 비교하면, 봉제공장의 평균 매출액은 7년 전보다 40%나 줄어들었다. 99년엔 한달 매출이 2176만1천원이었으나 올해엔 1306만6천원이었다. 수입이 줄어들자 미래에 대한 불안도 심해지고 있다. ‘이곳이 앞으로 쇠퇴할 것으로 보느냐’란 질문에 99년엔 4.7%만이 ‘그렇다’고 답했으나 올해엔 78.6%로 늘었다. 고령화 현상도 뚜렷해 7년 전에는 30대(40.3%)가 가장 많았지만 지금은 40대(42.1%)와 50대(29.3%)가 절반을 넘는다. 인구도 해마다 평균 700여명 씩 줄어 7년 사이 15% 이상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갔다. 직원 8명을 고용하고 있는 한성화(41) 사장은 “일하는 사람들이 지쳐서 떠난다”고 했다. “여자들은 식당, 남자들은 일용직 노동자로 가는 거야. 경쟁이 안 되니까. 올해는 이렇게 공장문을 열고 있지만 내년엔 어떻게 될지 모르지.”
관련된 가게들도 연쇄적으로 배를 곯는다. 원단가게를 하는 임아무개(70)씨는 35년 동안 창신동에 살았다. 본래는 봉제일을 하다가 원단가게를 차렸는데 하루에 1만원 어치도 못 팔고 있다. “앞에 (임대로) 내놓은 식당 건물은 10개월도 더 됐는데 아직도 안 나가고 있어. 이 동네는 봉제가 중심이지. 봉제가 죽으면 지게꾼이고 용달꾼이고 오토바이꾼이고 다 같이 죽는 거지.” 파괴되는 것은 일자리만이 아니다. 평소엔 사슬처럼 엮여있는 듯한 가족도 경제적 시련 앞에선 실밥처럼 뜯겨져 나간다. 22년째 창신동 공장에 다니고 있는 김아무개(53)씨는 8년전 아내가 빚 때문에 집을 나갔다. “아내가 사라지자 매일 밥대신 소주 5병만 마셨다”는 김씨는 그래도 딸 하나를 바라보고 마음을 다잡고 재봉틀 앞에 앉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처럼 악착같이 일하는 그도 다섯달째 월급을 못 받고 저축한 돈을 까먹으며 지내고 있다. 창신·숭인동 일대 83만9966㎡가 3차뉴타운 후보지로 지정된 것도 봉제공장 사람들을 우울하게 만든다. 아파트 중심 재개발이 진행될 경우 그렇잖아도 경쟁력을 잃어 허덕이는 창신동 봉제업은 해체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임자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2003년도 조사를 기준으로 할 때 창신동 일대는 서울의 봉제업체 전체 가운데 9~10%가 몰려 있다”며 “창신동이 세계화와 개발에아무런 전략없이 무방비로 해체돼간다면 우리나라 의류산업을 이끌어온 인력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안타까워 했다. 이유주현 전진식 기자, 김규남(성균관대 경제 졸업) 김진화(서울대 사회교육4) 송경화(서울대 지리4) 장유영(서울대 지리교육 4)인턴기자 edigna@hani.co.kr
▲ ‘창신동의 하루’를 담은 2분30분 짜리 동영상입니다.
① 세계화·개발 기로에 서다 블라우스 1장에 2천원, 하청 단가 90년대말과 같아
미싱사들 ‘객공’으로 전락, 비성수기땐 일감없어 수입 0원
70%가 40~50대 고령화 심각, 개발바람에 봉제업 해체 가속화 경상도 산골에서 스무살에 혼자 서울로 올라와 창신동에서 20여년째 미싱을 밟고 있는 노정섭(45)씨는 6년전부터 ‘객공’으로 일하고 있다. ‘객공’이란 고용 기간을 계약하지 않고 일감이 있으면 일하고 일감이 떨어지면 자동 해고되는 비정규직의 극단적 형태다. 그는 대뜸 입고 있는 바지를 흔들어 보였다. “이게 7천원이야. 한국산이라고 쓰여 있지만 딱 보면 알아. 중국산이지. 싼 물건에 당할 수가 있나. 길거리에서 파는 거 90%가 원단에서 바느질까지 모두 중국산이야. 일요일 오전에 평화시장 가 봤나? 거기 파는 옷들 바지고 웃도리고 3천원짜리가 수두룩해. 그런 가격을 어떻게 한국에서 만들어?”
서울 동대문구 창신동의 한 봉제공장에서 주인 아주머니와 직원 단둘이 납품할 옷의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 바쁠 때에는 10여명이 떠들썩하게 일을 하던 이 공장도 값싼 중국산에 밀려 일감이 줄어들면서 매출이 급감했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창신동 사람들 중엔 최근 객공으로 신분이 떨어진 사람이 늘어났다. 주문이 없을 때 월급제 직원을 두면 고스란히 사업자의 빚으로 남기 때문에 정규 직원이 아닌 객공을 채용하게 된 것이다. 객공의 수입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성수기인 3~5월, 9~11월엔 하루종일 일해 월 200만~300만원씩 벌지만 비성수기때는 말 그대로 ‘0원’이 된다. 노씨는 “비성수기때에는 성수기에 필요한 옷을 미리 당겨 만들어놓기도 했는데 4~5년 전부터는 그렇지 않다”며 “예전의 성수기가 비성수기가 됐고, 예전의 비성수기엔 아예 일이 없다”고 말했다. 일해도 수입은 갈수록 줄어든다. 납품가격이 구제금융기 이후로 동결됐기 때문이다. 남편과 함께 봉제 하청을 받아 일하는 지아무개(54)씨는 “디자인에 따라 다르지만 티셔츠는 1벌에 500~600원, 블라우스는 2천~2500원, 바지는 1500~2천원을 받고 바느질을 한다”고 말했다. 이는 90년대 말과 같은 단가다. 지씨는 “하루 종일 3사람이 매달려 500원짜리 티셔츠 100장을 만들면 오히려 밑지는 장사”라고 말했다. <한겨레>가 지난달 3~7일 창신동 봉제공장 노동자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한달 임금이 평균 134만원으로 조사됐다. 2006년 2/4분기 도시근로자 가구주 평균소득 225만8천원의 59%에 불과했다. 99년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창신동 공장 129곳을 조사한 것과 비교하면, 봉제공장의 평균 매출액은 7년 전보다 40%나 줄어들었다. 99년엔 한달 매출이 2176만1천원이었으나 올해엔 1306만6천원이었다. 수입이 줄어들자 미래에 대한 불안도 심해지고 있다. ‘이곳이 앞으로 쇠퇴할 것으로 보느냐’란 질문에 99년엔 4.7%만이 ‘그렇다’고 답했으나 올해엔 78.6%로 늘었다. 고령화 현상도 뚜렷해 7년 전에는 30대(40.3%)가 가장 많았지만 지금은 40대(42.1%)와 50대(29.3%)가 절반을 넘는다. 인구도 해마다 평균 700여명 씩 줄어 7년 사이 15% 이상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갔다. 직원 8명을 고용하고 있는 한성화(41) 사장은 “일하는 사람들이 지쳐서 떠난다”고 했다. “여자들은 식당, 남자들은 일용직 노동자로 가는 거야. 경쟁이 안 되니까. 올해는 이렇게 공장문을 열고 있지만 내년엔 어떻게 될지 모르지.”
관련된 가게들도 연쇄적으로 배를 곯는다. 원단가게를 하는 임아무개(70)씨는 35년 동안 창신동에 살았다. 본래는 봉제일을 하다가 원단가게를 차렸는데 하루에 1만원 어치도 못 팔고 있다. “앞에 (임대로) 내놓은 식당 건물은 10개월도 더 됐는데 아직도 안 나가고 있어. 이 동네는 봉제가 중심이지. 봉제가 죽으면 지게꾼이고 용달꾼이고 오토바이꾼이고 다 같이 죽는 거지.” 파괴되는 것은 일자리만이 아니다. 평소엔 사슬처럼 엮여있는 듯한 가족도 경제적 시련 앞에선 실밥처럼 뜯겨져 나간다. 22년째 창신동 공장에 다니고 있는 김아무개(53)씨는 8년전 아내가 빚 때문에 집을 나갔다. “아내가 사라지자 매일 밥대신 소주 5병만 마셨다”는 김씨는 그래도 딸 하나를 바라보고 마음을 다잡고 재봉틀 앞에 앉았다고 했다. 그러나 그처럼 악착같이 일하는 그도 다섯달째 월급을 못 받고 저축한 돈을 까먹으며 지내고 있다. 창신·숭인동 일대 83만9966㎡가 3차뉴타운 후보지로 지정된 것도 봉제공장 사람들을 우울하게 만든다. 아파트 중심 재개발이 진행될 경우 그렇잖아도 경쟁력을 잃어 허덕이는 창신동 봉제업은 해체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임자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2003년도 조사를 기준으로 할 때 창신동 일대는 서울의 봉제업체 전체 가운데 9~10%가 몰려 있다”며 “창신동이 세계화와 개발에아무런 전략없이 무방비로 해체돼간다면 우리나라 의류산업을 이끌어온 인력의 단절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안타까워 했다. 이유주현 전진식 기자, 김규남(성균관대 경제 졸업) 김진화(서울대 사회교육4) 송경화(서울대 지리4) 장유영(서울대 지리교육 4)인턴기자 edigna@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