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프락치 강요…“창문 없는 방, 2주 갇혀 친구 이름을 적었다” [인터뷰]

등록 2022-11-23 15:00수정 2022-11-23 23:41

강제징집 녹화공작 피해자 권형택·권혁영씨
진실화해위, 23일 187명 피해자 공식 인정
23일 진실화해위원회의 강제징집 녹화공작 피해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앞두고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 사옥에서 피해 당사자 권형택씨(오른쪽)와 권혁영씨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3일 진실화해위원회의 강제징집 녹화공작 피해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앞두고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 사옥에서 피해 당사자 권형택씨(오른쪽)와 권혁영씨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1983년 1월, 전역을 4개월 앞두고 있던 27살 권형택(66)씨는 영문도 모른 채 서울 중구 퇴계로 진양상가아파트로 끌려갔다. 국군보안사령부 안가인 ‘진양분실’이었다. 권씨가 마주한 건 “솔직히 말하지 않으면 살아서 나가지 못할 줄 알라”는 보안사 조사관의 협박, 그리고 구타였다.

서울대에서 학생운동을 했던 권씨는 보안사에서 관리대상 ‘A급’으로 분류됐고, 진양분실에서 가혹한 ‘녹화사업 심사’를 받아야 했다. “첫날부터 폭행이 시작됐어요. 15일간 시퍼런 멍이 가라앉지 않았어요. 창문을 막아 밖을 볼 수도 없는 곳에 갇힌 채 그동안 접촉했던 사람들의 이름을 적고, 전역 뒤 보고해야 할 사항을 지시 받았죠. 감옥도 그런 감옥이 없었어요.”

23일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대학생 강제징집 및 프락치 공작 사건’의 국가폭력 피해자로 인정한 권형택씨와 권혁영(61)씨는 지난 21일 <한겨레>와 만나 40여년간 눌러왔던 고통을 전했다.

권혁영씨는 보안사가 작성한 자신의 ‘존안자료’를 지난해에야 처음 봤다. 1980년 서울대에 입학해 학생운동을 하던 그는 학내 징계로 지도휴학(군사정권 시절 지도교수가 학생 동의 없이 휴학시키는 제도) 처리돼 군에 강제 징집됐다. 이후 사상 검증, 프락치 활용 가능성 심사를 받았다. 그의 존안자료에는 가족 재산은 물론 사촌과 큰아버지 직업까지 적혀 있었다. 권씨가 활동했던 연극동아리 회원 명단과 활동 사항 등 군의 강요로 쓴 자필 진술서 등 존안자료가 90쪽이나 됐다.

“당시 군은 교감인 아버지와 육사 출신인 형의 안위를 볼모 삼아 협박했습니다. 전역 뒤 복학하자 학군단에서 찾아와 친구들 동향을 파악해 보라며 프락치 노릇을 강요한 게 떠올라 힘들었죠.”(권혁영) 전역 이후에도 8개월간 프락치 강요와 협박에 시달리던 그는 결국 학교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서울대 소요 음모 파악’ 임무 등을 부여받았던 그는 “심리적 부담이 너무 컸다. 학생운동을 관두고 이미 취업하거나 대학원에 간 친구들처럼 비교적 안전한 이들의 이름을 대거나 발뺌하는 것도 한두번 아닌가. 집으로, 학교로 오는 연락을 피하려면 여길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권혁영씨에 대해 보안사령부가 작성한 ‘특변자 활용 결과보고’ 문건. 보안사는 전역을 앞두고 그에게 공작 임무를 부여했다. 권씨는 이를 피하기 위해 친구들을 만나지 않고, 조사를 해도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정보만 제공하려고 애썼지만 계속되는 군의 요구를 참지 못하고 학교를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 권씨 제공
권혁영씨에 대해 보안사령부가 작성한 ‘특변자 활용 결과보고’ 문건. 보안사는 전역을 앞두고 그에게 공작 임무를 부여했다. 권씨는 이를 피하기 위해 친구들을 만나지 않고, 조사를 해도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정보만 제공하려고 애썼지만 계속되는 군의 요구를 참지 못하고 학교를 나가지 않았다고 한다. 권씨 제공
84쪽에 달하는 권형택씨 존안자료에도 강제 징집 뒤인 1981년 11월부터 1983년 6월 전역 직전까지 그의 소속 부대가 권씨 주변 인물, 서신 내용 등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한 38건의 동향보고가 담겼다. “나는 그래도 전역을 앞두고 조사를 받았지만, 군 생활이 많이 남은 친구들은 계속 순화교육을 받고 휴가 기간 동향보고를 시켰다. 이를 견디지 못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말했다.

녹화사업 과정에서 의문사한 이들에 대한 진실 규명은 더디기만 하다. 1983년에만 205보안부대에서 이윤성(5월 사망)씨가 숨진 뒤 김두황(6월), 한영현(7월), 최온순(8월), 한희철(12월)씨 등이 잇달아 숨졌다. 권혁영씨는 “진실화해위는 진실규명을 신청한 사람들에 대한 조사에서 더 나아가 의문사 피해자들과 녹화사업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한 노력도 해야한다. 당시 군 가해자에 대한 조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23일 진실화해위원회의 강제징집 녹화공작 피해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앞두고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 사옥에서 피해 당사자 권형택씨와 권혁영(왼쪽)씨가 인터뷰에 앞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23일 진실화해위원회의 강제징집 녹화공작 피해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앞두고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 사옥에서 피해 당사자 권형택씨와 권혁영(왼쪽)씨가 인터뷰에 앞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장예지 기자 pen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나는 ‘치매’다…그래도 “동창회 가야죠, 여행도 가고 싶고” 1.

나는 ‘치매’다…그래도 “동창회 가야죠, 여행도 가고 싶고”

‘콩레이’ 덥친 제주…101년 만에 11월 최다 강수량 기록 2.

‘콩레이’ 덥친 제주…101년 만에 11월 최다 강수량 기록

‘빈집’ 공수처…윤, 신규 검사 임명 ‘뭉개기’로 수사 마비 3.

‘빈집’ 공수처…윤, 신규 검사 임명 ‘뭉개기’로 수사 마비

‘여자배구 전설’ 조혜정 별세…“배구야, 널 만나 행복했어” 4.

‘여자배구 전설’ 조혜정 별세…“배구야, 널 만나 행복했어”

“위대한 엄마, 자랑스러워하길”…6명에 새 삶 주고 떠난 38살 5.

“위대한 엄마, 자랑스러워하길”…6명에 새 삶 주고 떠난 38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