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口는 입이 아니라 기도문 그릇”

등록 2023-05-08 16:04수정 2023-05-09 02:33

연재 ㅣ 재미있는 한자 이야기

입 구(口)는 ‘먹고 말하는 곳’을 가리키는 글자다. 한자 사전의 고전인 <설문해자>에도 그렇게 나와 있다. 그러나 한자의 가장 오래된 형태인 갑골문이나 금문에는 입의 뜻으로 볼 만한 용례가 없다. 입 구자 口는 나중에 생겨난 글자이고, 갑골문과 금문에는 한글 자음과 모양이 비슷한 ‘ㅂ’ 형태로 표시돼 있다. ‘ㅂ’이 자형 속에 들어 있는 글자는 백수십가지가 되지만, 입구의 의미로서는 글자 뜻이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2천년 동안 한자 해석의 의문거리였다. 그런데 20세기 한자학자 시라카와 시즈카는 갑골문을 연구한 끝에 이들 글자 속의 ‘ㅂ’은 口가 아니라, 기도문을 담는 ‘그릇(ㅂ)’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입이 아니라 기도함 용기라고 보고 전체 글자를 풀이하면 대부분 무리 없이 해석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 예를 들어 古, 右, 可, 召, 名, 各, 客, 吾, 吉, 舍, 告, 害, 史, 兄, 祝, 啓, 品, 區, 臨, 嚴 등이 그런 한자들이다.

대표적으로 이름 명(名)자를 보자. <설문해자>는 “名은 스스로 이름을 부르는 것이다. 입 구와 저녁 석(夕)의 뜻을 따른다. 저녁은 어두워서 서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입으로 스스로 이름을 부른다”라고 그 모양과 뜻을 풀이하고 있다. 그러나 어두워서 보이지 않아 부르는 것이 이름이라는 풀이는 억지에 가깝다. 시라카와에 따르면 갑골문에서 名의 상부 夕은 저녁이 아니라 제사에 쓰는 고기(肉)이다. 名의 하부는 口가 아니라 기도문이 들어 있는 그릇(ㅂ)이다. 즉 名은 아이가 태어나면 조상신에게 아이의 출생을 알리고 축복을 빌며 고기를 바치는 제사 행위에서 유래했다. 옛사람이 자(字)를 만들어 이름 대신 부르는 것은 이런 ‘신성한’ 이름이 저주의 대상이 되는 것을 피하려는 풍속에서 나왔다.

입 구를 그릇으로 본 시라카와 자설은 한자 해석 역사상 획기적인 사건이다. 그러나 이에 동의하지 않는 학자들도 여전히 많다. 이 코너 독자 가운데서 이 미완의 숙제를 완전히 푸는 사람이 나타나기를 바란다. (출전:<자통(字統)>, 시라카와 시즈카 저)

이인우 리쓰메이칸대학 시라카와시즈카기념동양문자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홍장원, 헌재 스크린에 메모 띄워…“윤석열 ‘싹 잡아들여’ 지시” [영상] 1.

홍장원, 헌재 스크린에 메모 띄워…“윤석열 ‘싹 잡아들여’ 지시” [영상]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2.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전한길, 윤석열 국민변호인단 참여…“지지율 60%면 탄핵 못 해” 3.

전한길, 윤석열 국민변호인단 참여…“지지율 60%면 탄핵 못 해”

[영상] 피식, 고개 홱…윤석열,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노골적 무시 4.

[영상] 피식, 고개 홱…윤석열,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노골적 무시

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민낯은 ‘비정규 백화점’ 방송사 5.

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민낯은 ‘비정규 백화점’ 방송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