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13일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시범운영 중인 자립형 사립고 6곳을 유지하되 확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자립형 사립고를 놓고 ‘학교 선택의 다양성 존중’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귀족학교’라는 비난이 맞서고 있는 가운데 부총리가 “자사고 확대 계획이 없다”고 쐐기를 박은 것이다.
김 부총리는 자립형 사립고 설립에 대해 “(문을) 열어놓는다고 해도 (재정적으로) 할 수 있는 곳이 몇 곳이 있겠냐”며 “다양성을 존중하는 뜻에서 자사고를 유지하되 자사고를 지금 확대하는 것만이 답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됐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현재 운영중인 사립형 사립고의 시범운영을 연장할 지에 대해서는 공영형 혁신학교와 연계해서 결정할 계획이다. 김 부총리는 “공영형 혁신학교의 운영 틀이 나오는 6월께 자사고의 시범운영 연장 등을 같이 결정해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영형 혁신학교는 국가나 자방자치단체가 재정의 대부분을 부담하고 시·도교육감과 협약을 맺은 법인이나 단체가 운영주체가 된다. 교육부는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을 목표로 공모를 통해 시범학교와 학교장을 선정하는 등 올 6월까지 공영형 혁신학교의 기본방향을 정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자립형 사립고와 달리 공영형 혁신학교는 등록금 부담을 공립학교 수준에 맞추고, 입시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교육을 지향하는 운영주체를 선정할 방침이다.
박주희 기자 hop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