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참될수록 오래간다”

등록 2023-04-03 17:19수정 2023-04-04 02:32

연재 ㅣ 재미있는 한자 이야기
참 진(眞) 갑골문
참 진(眞) 갑골문

추상적인 의미는 문자화하기 어렵다. 참되다, 옳다 등의 뜻을 지닌 진(眞) 자는 匕(숟가락 비)와 目(눈 목), 乚(숨을 은), 八(여덟 팔)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자가 어째서 참됨을 뜻하게 되었을까. 몇가지 설명이 있다. 첫 번째는 匕아래 부분을 솥 정(鼎)으로 보고, 신에게 바치는 음식은 정갈해야 한다는 데서 ‘참되다’는 의미가 나왔다는 해석이다.

두 번째는 곧을 정(貞)자와 관련짓는다. 貞은 본래 점치는 것을 뜻하는 글자이다. 고대에 점술은 신과 통하는 행위이므로, ‘진실한 것’으로 간주된다.

세 번째는 문자학자 시라카와 시즈카의 학설로, ‘길에 쓰러져 죽은 사람’에서 의미가 유래했다고 한다. 이 설에 따르면 眞은 회의(會意. 둘 이상의 의미를 합쳐 한 글자를 만드는 것. 日과 月이 합쳐져 ‘밝다’는 뜻의 명(明)자가 된 것이 대표적이다)문자로서 갑골문에는 사람(儿)을 뜻하는 匕와 ‘매달 현(県)’으로 구성돼 있다.

県은 본래 거꾸로 매달리거나 엎어져서 머리카락이 흘러내린 모습을 표현한 글자이다. 즉 사람이 쓰러져 죽은 모습이다. 엎어진다는 의미의 전(顚)자가 그 의미를 간직하고 있다. 그런데 어째서 이렇게 참혹하게 객사한 모습을 ‘참’이라고 여기게 되었을까.

고대인은 생각지도 못한 재난으로 억울한 죽음을 당한 사람, 특히 강력한 존재의 영령일수록 주술력이 참되다고 믿었다. 또 죽음은 더 이상의 변화가 없는 상태이므로 ‘영원하다’는 의미를 얻게 되었다. 살아있는 시간은 잠시이고 죽의 뒤에 영원한 세계가 있다는 고대관념에서 참됨, 진실같은 의미가 생겨났다는 해석이다. 처음에는 시체를 떠받치는 모습을 의미한 구(久)자가 나중에 오래가다, 영원하다는 의미를 지니게 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참 진 자는 <논어> 같은 유가(儒家) 경전에서는 보이지 않다가, 후대에 출현한 도가(道家) 경전인 <장자> <노자> 등에서 처음 보이기 시작한다고 한다. 현실초월적인 사상인 도가에서는 정신적으로 최고 경지에 이른 사람을 ‘진인(眞人)’이라고 한다. 출전: <字統>(시라카와 시즈카 저)

이인우 리쓰메이칸대학 시라카와시즈카기념동양문자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홍장원, 헌재 스크린에 메모 띄워…“윤석열 ‘싹 잡아들여’ 지시” [영상] 1.

홍장원, 헌재 스크린에 메모 띄워…“윤석열 ‘싹 잡아들여’ 지시” [영상]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2.

[단독] “나경원 해임 기사 보내니 용산 사모님이 좋아하네요”

전한길, 윤석열 국민변호인단 참여…“지지율 60%면 탄핵 못 해” 3.

전한길, 윤석열 국민변호인단 참여…“지지율 60%면 탄핵 못 해”

[영상] 피식, 고개 홱…윤석열,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노골적 무시 4.

[영상] 피식, 고개 홱…윤석열,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노골적 무시

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민낯은 ‘비정규 백화점’ 방송사 5.

오요안나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민낯은 ‘비정규 백화점’ 방송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